Contents

· 미국월배당 ETF 6종 개요

· 수수료(실부담비용) 비교

· 분배금(배당) 비교

· 수익률 비교

· 마치며(추천 전략)

· 함께 읽어보면 좋은 글

 



최근 미국 S&P 500 지수와 나스닥 100 지수가 모두 하락했습니다.

S&P 500은 (2025년 2월 19일) 6,147.43 포인트를 고점으로 한 달 정도 계속 하락하고 있습니다.

3월 14일 2.13% 반등하여, 고점대비 -8.27% 하락했습니다.

나스닥 100은 (2025년 2월 18일)  20,110.12을 고점으로 한 달 정도 계속 하락하고 있습니다.

3월 14일 2.61% 반등하여, 고점대비 -11.72% 하락했습니다.

 

한 달 가까이 하락하자, 투자자들은 점차 배당주에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실제로, 주가 하락장세일 때, 배당주가 덜 빠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동일 증권사의 상품으로 비교해 보겠습니다.

 

아래는 ACE 미국 S&P 500의 가격차트와 수익률 차트입니다.

ACE 미국 S&P500 주가차트
ACE 미국S&P500 주가차트

 

ACE 미국S&P500 수익률 차트
ACE 미국S&P500 수익률 그래프

 

 

ACE 미국 S&P 500의 경우, 1달 동안 수익률이 -8.5% 빠졌습니다.

 

아래는 ACE 미국배당다우존스 ETF의 가격차트와 수익률 차트입니다.

 

ACE 미국배당다우존스 ETF 주가 차트
ACE 미국다우존스 ETF 주가 차트

 

ACE 미국배당다우존스 ETF 수익률 차트
ACE 미국배당다우존스 ETF 수익률 차트

 

ACE 미국배당다우존스의 경우, 1달 동안 수익률이 -0.89% 빠졌습니다.

 

확실히, 시장이 하락장일 때, 배당주가 덜 빠집니다.

 

그리고, 배당투자에서 예전에는 분기배당이 주를 이루었는데, 이제는 월배당이 주를 이루고 있습니다.

월배당이 대세로 자리 잡았습니다.

그렇다면, 미국시장의 월배당 ETF들은 무엇이 있을까요?

미국시장의 월배당 ETF는 커버드콜 상품을 포함하여, 매우 다양한 ETF가 있습니다.

그중에서, WisdomTree 운영사의 월배당 ETF들을 살펴보고자 합니다.

참고로, 아래에 제시한 구체적인 숫자는 2025.03.14 기준으로 작성하였습니다.

 

미국월배당 ETF 6종 개요

1. WisdomTree US LargeCap Dividend ETF (DLN)

미국 대형주 중에 배당을 지급하며, 시가총액 순으로 순위를 매긴 300개 대기업으로 구성

 

2. WisdomTree US MidCap Dividend ETF (DON)

- 미국 중형주 중에 배당을 지급하며, DLN의 300개 대기업을 제외하고 시가총액 상위 75%에 해당하는 기업들로 구성 

 

3. WisdomTree US SmallCap Dividend ETF (DES)

- 미국 소형주 중에 배당을 지급하며, 시가총액 하위 25%에 해당하는 기업들로 구성

 

4. WisdomTree US Total Dividend ETF (DTD)

- 미국 증권 거래소에 상장되어 정기적인 현금 배당금을 지급하는 모든 회사들로 구성(대형주, 중형주, 소형주 모두 포함)

 

5. WisdomTree US Quality Dividend Gr ETF (DGRW)

- WisdomTree US Dividend Index에 포함된 기업 중에, 성장 잠재력(중기 수익 성장 기대치, 자기 자본 수익률 및 자산 수익률)이 높은 300개 기업으로 구성

 

6. WisdomTree US High Dividend ETF (DHS)

- WisdomTree US Dividend Index에 포함된 기업 중에, 배당 수익률이 높은 기업으로 구성

 

  DLN DON DES DTD DGRW DHS
상장일 2006.06.16 2006.06.16 2006.06.16 2006.06.16 2013.05.22 2006.06.16
기초자산 주식 주식 주식 주식 주식 주식
순자산(AUM) $ 4,616.4M $ 3,591.4M $ 1,873.8M $ 1,323.5M $ 14,639.3M $ 1,206.5M
레버리지 1X 1X 1X 1X 1X 1X
액티브 X X X X X X

 

DGRW를 제외한 다른 모든 ETF들이 2006.06.16에 같은 날에 상장되었습니다.

순자산으로는 DGRW > DLN > DON > DES > DTD > DHS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가장 나준에 상장된 DGRW가 순자산이 가장 많은 것을 보면, 늦게 상장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다수의 투자자들이 성장잠재력이 높은 기업으로 구성된 DGRW를 선호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수수료(실부담비용) 비교

  DLN DON DES DTD DGRW DHS
총보수 - - - - -  
TER 0.28% 0.38% 0.38% 0.28% 0.38% 0.38%
실비용 0.28% 0.38% 0.38% 0.28% 0.38% 0.38%

 

수수료는 대동소이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분배금(배당) 비교

  DLN DON DES DTD DGRW DHS
연간배당률 2.01% 2.35% 2.86% 2.07% 1.61% 3.50%
최근 배당 $ 0.11 $ 0.04 $ 0.01 $ 0.09 $ 0.11 $ 0.17
월배당 O O O O O O

 

분배금(배당)은 DHS > DES > DON > DTD > DLN > DGRW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역시, 배당수익률이 높은 기업들로 구성된 DHS의 연간배당률이 가장 높게 나타났습니다.

반면, 많은 투자자들이 선택한 DGRW는 연간배당률이 가장 낮았습니다.

저도 배당 콘셉트로 DGRW에 투자하고 있는데, 연간배당률을 확인해 보고 놀랐습니다.

연간배당 수익률이 1% 이상 차이가 납니다. 

 

그럼, 수익률도 비교해 볼까요?

 

 

수익률 비교

  DLN DON DES DTD DGRW DHS
기준일 2025.03.14 2025.03.14 2025.03.14 2025.03.14 2025.03.14 2025.03.14
현재가 78.29
1.49%
49.01
2.06%
32.18
1.74%
76.04
1.56%
79.23
1.58%
97.26
1.11%
1주 -2.38% -2.27% -2.01% -2.44% -3.04% -1.64%
1개월 -3.74% -5.25% -6.40% -3.93% -5.34% 0.30%
3개월 -1.75% -7.66% -10.88% -2.42% -5.14% 1.44%
6개월 2.53% 0.05% -3.39% 2.25% -2.31% 7.41%
YTD 0.85% -3.71% -6.25% 0.43% -1.97% 4.48%
1년 13.23% 7.36% 6.56% 12.74% 7.21% 20.52%
3년 10.36% 7.58% 3.83% 9.96% 11.73% 8.79%
5년 15.59% 15.63% 13.64% 15.60% 16.55% 14.38%
10년 10.77% 8.48% 6.25% 10.36% 12.11% 8.88%

 

수익률을 보면, 2025.03.14은 모두 상승한 것으로 나왔습니다.

 

[최근 1 ~ 3개월의 수익률 분석]

DLN, DON, DES, DTD, EGRW 모두 마이너스를 기록했는데, DHS만이 플러스를 보이고 있습니다.

 

(분석 1) 

먼저, DLN(대형주) vs DON(중형주) vs DES(소형주) 3가지를 비교해 보면, 하락장세에는 대형주 > 중형주 > 소형주 순으로 방어력이 높은 것으로 분석됩니다.

 

(분석 2)

아울러, DTD(대형·중형·소형)와 함께 비교해 보면, 대형주 > 대형·중형·소형 > 중형주 > 소형주 순으로 방어력을 보여주고 있어, 전체시장에 분산투자하는 것이 평균 이상의 실적을 보여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최근 6개월 ~ 1년의 수익률 분석]

DHS > DLN > DTD > DON > DGRW > DES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최근 3년 ~ 10년의 수익률 분석]

DGRW > DTD > DLN > DON > DHS >  DES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분석 1)

최근 6개월 ~ 1년은 높은 배당률의 DHS가 수익률이 가장 좋게 나왔고, 장기적으로는 DGRW가 수익률이 가장 좋았습니다.

이는, 지난 3 ~ 10년 동안은 주가 상승이 수익률에 큰 영향을 끼쳤으며, 최근 6개월 ~ 1년 동안은 주가 상승이 보합구간으로, 배당수익률이 높은 DHS가 수익률이 높은 것으로 분석됩니다.

 

(분석 2)

아울러, DTD의 수익률을 보면, DON, DES 보다 어느 기간에나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모든 시장에 투자하는 것이 특정 규모의 시장에 투자하는 것보다는 더 나은 결과를 가져온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습니다.

 

 

월배당 ETF 수익률·배당률 비교 분석(DLN, DON, DES)
월배당 ETF 수익률·배당률 비교 분석(DLN, DON, DES) (출처: ETF CHECK)

 

 

월배당 ETF 수익률·배당률 비교 분석(DHS, DTD, DGRW)
월배당 ETF 수익률·배당률 비교 분석(DHS, DTD, DGRW) (출처: ETF CHECK)

 

 

마치며(추천 전략)

지난 10년 동안은 주가 상승국면에 해당하고, 그중에 최근 1년 정도는 주가 보합국면에 해당하는 것으로 분석됩니다.

앞으로, 최근 1달은 주가 하락국면에 들어선 상황을 고려하면, 다음과 같은 전략을 생각해 보았습니다.

 

[전략 1] DTD + DHS

주식 시장 전체에 투자하는 DTD를 매수하여, 평균 이상의 수익률을 확보합니다.

아울러, DHS를 함께 매수하여, 높은 배당률로 배당으로 인한 수익률을 챙깁니다.

DTD : DHS를 5:5 또는 4:6 또는 6:4로 조합하여 투자하는 것을 전략입니다.

 

[전략 2]  DGRW + DHS

주가 상승국면에는 DGRW가 가장 높은 수익률을 보였습니다.

그리고 주가 보합국면에는 DHS가 가장 높은 수익률을 보였습니다.

만일, 향후 주식시장이 보합국면 또는 하락국면으로 예상된다면, DHS의 비중을 높여 투자하고,

만일, 향후 주식시장이 상승국면이 곧 다시 시작될 것으로 예상된다면, DGRW의 비중을 높여 투자하는 전략입니다.

이는 투자자가 향후 주식시장을 어떻게 바라보느냐에 따라 비중을 달리하여 투자하는 전략입니다.

 

 

 

함께 읽어보면 좋은 글

· 성공적인 ETF 투자를 위한 6가지 체크리스트

· 배당 성장률이 가장 좋은 그룹은?

· 배당 챔피언, 배당 귀족주, 배당킹, 그리고 배당 성장률, 배당 안정성, 배당 성장성

· 배당 투자 입문자를 위한 가이드(배당 챔피언 vs 배당 귀족주 vs 배당킹)

· 배당 귀족주와 배당 킹, 더 적합한 선택은?

Contents

·  사이버보안 ETF 5종 개요

·  사이버보안 ETF 5종 수수료(실부담비용) 비교

·  사이버보안 ETF 5종 분배금(배당) 비교

·  사이버보안 ETF 5종 수익률 비교

·  사이버보안 ETF 5종 구성종목 비교

·  마치며

·  함께 읽어보면 좋은 글

 

 

 

최근 투자자들 사이에서 양자컴퓨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상대적으로 사이버보안 산업에 대한 투자자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에, 주요 사이버보안 ETF 5종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국내 시장에 상장된 사이버보안 ETF는 TIGER 글로벌 AI사이버보안 ETF 하나뿐입니다.

 

반면, 해외 시장에 상장된 사이버보안 ETF는 5종 정도입니다.

1. WisdomTree Cybersecurity Fund (WCBR)

2. Global X Cybersecurity ETF (BUG)

3. First Trust NASDAQ Cybersecurity ETF (CIBR)

4. ETFMG Prime Cyber Security ETF (HACK)

5. iShares Cybersecurity and Tech ETF (IHAK)

 

이번 글에서는 국내 ETF 말고, 해외 ETF 5종에 대해서 비교해 보겠습니다.

 

사이버보안 ETF 5종 개요

  WCBR BUG CIBR HACK IHAK
운용사 Wisdom Tree Global X Funds First Trust Amplify ETFs iShares
상장일 2021.01.26 2019.10.25 2015.07.06 2014.11.11 2019.06.11
순자산(AUM) $132.8M $910.4M $8,076.7M $2,092.4M $938.7M

 

먼저, 운용사, 상장일, 순자산규모입니다.

HACK와 CIBR이 가장 오래된 약 10~11년 차 ETF로, 사이버보안 ETF 시장의 선구자적인 역할을 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순자산규모를 보아도, CIBR이 1위, HACK가 2위로, 5종 ETF 중에서 규모가 큰 ETF입니다.

 

오래된 CIBR과 HACK 2종이 상장일과 순자산 규모 면에서는 가장 앞선 ETF입니다.

 

사이버보안 ETF 5종 수수료(실부담비용) 비교

  WCBR BUG CIBR HACK IHAK
총보수 - - - - -
TER 0.45% 0.50% 0.59% 0.60% 0.47%
실비용 0.45% 0.50% 0.59% 0.60% 0.47%

 

 ■ TER(Total Expense Ratio) = 운용보수 + 기타 비용

 ■ 실비용(Net Expense Ratio) = TER + 수수료 면제

 

TER과 실비용이 가장 낮은 ETF를 순서대로 나열하면, WCBR > IHAK > BUG > CIBR > HACK입니다.

BUG 0.5%를 기준으로 WCBR은 0.45%, IHAK는 0.47%로 낮은 편에 속합니다.

그리고 BUG 0.5%를 기준으로 CIBR 0.59%, HACK 0.6%로 높은 편에 속합니다.

수수료의 차이가 실제로 수익률에 얼마나 영향을 끼치는지 확인해 보겠습니다.

 

 

사이버보안 ETF 5종 분배금(배당) 비교

  WCBR BUG CIBR HACK IHAK
연간배당률 0.02% 0.09% 0.27% 0.13% 0.2%
최근배당 $0.01 $0.03 $0.08 $0.05 $0.10
최근 배당일자 2024.12.26 2024.12.30 2024.12.13 2024.12.30 2024.12.17
배당주기 연 1회
(12)
연 1회
(12)
연 4회
(3,6,9,12)
연 4회
(3,6,9,12)
연 2회
(6,12)

 

연간배당률로 보면 CIBR이 0.27%로 가장 높고, 다음으로 IHAK가 0.2%로 높습니다.

사이보보안 ETF 5종 모두 연간배당률이 그리 높지 않습니다.

그래서, 연간배당률을 ETF 선택의 기준이 되기에는 맞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배당이 적은 것보다 많은 것이 낫다는 부가적인 요소로 접근하는 것이 맞을 거 같습니다.

 

 

사이버보안 ETF 5종 수익률 비교

  WCBR BUG CIBR HACK IHAK
1개월 -6.00% -1.97% -1.48% -2.85% -4.43%
3개월 2.48% 1.14% 5.07% 4.78% -2.95%
6개월 15.75% 9.96% 13.03% 14.26% 0.88%
YTD 4.71% 5.55% 4.19% 2.51% -0.14%
1년 10.35% 12.26% 16.58% 18.97% 2.38%
3년 7.67% 3.75% 10.01% 10.20% 5.52%
5년   17.18% 19.18% 14.61% 13.90%
10년       10.60%  

 

수익률을 기간 별로 살펴보면, 최근 1개월은 CIBR, BUG가 좋았습니다. 

YTD(연초대비) 수익률은 BUG, WCBR의 성과가 좋았습니다.

최근 3개월의 수익률은 CIBR, HACK의 성과가 좋았습니다.

최근 6개월의 수익률은 WCBR, HACK의 성과가 좋았습니다.

1년, 3년의 수익률은 HACK, CIBR의 성과가 좋았습니다.

5년의 수익률은 CIBR, BUG의 성과가 좋았습니다.

10년의 수익률은 HACK의 성과가 좋았습니다.

대체적으로 CIBR과 HACK의 성과가 단기 장기 수익률 모두 좋은 것으로 확인됩니다.

 

IHAK를 제외한, WCBR, BUG, CIBR, HACK의 수익률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먼저, 최근 1년의 수익률 그래프입니다.

사이버 보안 ETF 비교 분석(WCBR, BUG, CIBR, HACK, IHAK)
사이버 보안 ETF 비교 분석(WCBR, BUG, CIBR, HACK, IHAK)

 

 

다음으로, 최근 3년의 수익률 그래프입니다.

사이버 보안 ETF 비교 분석(WCBR, BUG, CIBR, HACK, IHAK)
사이버 보안 ETF 비교 분석(WCBR, BUG, CIBR, HACK, IHAK)

 

 

 

사이버보안 ETF 5종 구성종목 비교

사이버 보안 ETF 비교 분석(WCBR, BUG, CIBR, HACK, IHAK)
사이버 보안 ETF 비교 분석(WCBR, BUG, CIBR, HACK, IHAK)

 

대부분의 ETF가 Crowd Strike(CRWD)와 Palo Alto Networks(PANW) 등 공통적으로 보유하고 있으나,

각 ETF마다 특색 있는 종목 구성을 보이고 있습니다.

바로 이러한 구성종목들의 차이가 수익률의 차이로 나타납니다.

 

각 ETF의 구성종목을 비교해 보면 다음과 같은 특징을 보입니다.

1. WCBR : 사이버보안 및 보안 지향 기술 기업에 집중

2. BUG :  글로벌 사이버보안 기업에 집중

3. CIBR : 나스닥 CTA Cybersecurity 지수를 추종

4. HACK : 사이버보안 솔루션 제공 기업에 집중

 

 

마치며

최근 양자컴퓨터와 AI가 주목을 받으면서, 사이버보안에 대한 관심도 매우 커졌습니다.

AI 가 발전함에 따라, 사이버보안 산업에 지속적인 성장 잠재력은 무궁무진하다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사이버보안 ETF는 특정 기술섹터에 집중되어 높은 변동성을 보일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이에, 장기적인 관점으로 긴 호흡을 가지고 꾸준히 적립식으로 준비해야 합니다.

 

아울러, 사이버보안 ETF에서 CIBR과 HACK가 중장기적으로 수익률이 가장 높았습니다.

이에, CIBR, HACK 2개의 ETF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하여 함께 매수하는 전략을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그리하면, 사이버보안 ETF 투자를 통해 성장하는 산업의 잠재력을 활용하면서 리스크를 관리할 수 있을 것입니다.

 

 

함께 읽어보면 좋은 글

·  성공적인 ETF 투자를 위한 6가지 체크리스트

·  AI전력인프라 관련 국내상장 ETF 비교 분석

 Contents
  · 국내 상장 미국 나스닥 100 ETF 5종 개요
  · 국내 상장 미국 나스닥 100 ETF 5종 수수료(실부담비용) 비교
  · 국내 상장 미국 나스닥 100 ETF 5종 분배금(배당) 비교
  · 국내 상장 미국 나스닥 100 ETF 5종 수익률 비교
  · 마치며
    ·  [전략1]  안정성 1위 ETF 매수 전략
    ·  [전략2] 수익률 1위 ETF 매수 전략
    ·  [전략3] 수수료 1위 ETF 매수 전략
    ·  [전략4] 종합 전략

함께 읽어보면 좋은 글
  · 성공적인 ETF 투자를 위한 6가지 체크리스트
  · 미국 S&P 500 지수 추종 국내 ETF 추천


 

 

최근 국내 투자자들 사이에서 미국 기술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나스닥 100 지수를 추종하는 ETF들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에, 국내 주식시장에 상장된 미국 나스닥 100을 추종하는 ETF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국내 시장에 상장된 미국 대표 3대 지수인 나스닥 100 지수에 투자하는 ETF는 환헤지, 선물, 레버리지, 커버드콜, 인버스를 제외하면, 5종 정도입니다. ACE, KODEX, RISE, SOL, TIGER로 각 증권사마다 있는데요.

하나씩 비교 분석해 보겠습니다.

 

 

국내 상장 미국 나스닥 100 ETF 5종 개요

  ACE
미국나스닥100
KODEX
미국나스닥100
RISE
미국나스닥100
SOL
미국나스닥100
TIGER
미국나스닥100
운용사 한국투자신탁운용 삼성자산운용 KB자산운용 신한자산운용 미래에셋자산운용
상장일 2020.10.29 2021.04.09 2020.11.06 2024.03.12 2010.10.18
순자산(AUM) 14,287억원 20,933억원 10,304억원 413억원 48,039억원
현재가 24,170 21,145 23,455 13,320 140,785

 

먼저 운용사, 상장일, 자산규모 등입니다.

위와 같이 총 5종의 미국 나스닥 100 지수를 추종하는 ETF가 국내 시장에 상장되어 있습니다.

이중에, TIGER 미국 나스닥 100 ETF가 2010년에 상장되어 가장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순자산(AUM)도 48,039억 원으로 가장 큽니다.

상장일과 순자산으로 보았을 때, 미국 나스닥 100 추종 ETF를 매매할 계획이라면, TIGER 미국 나스닥 100이 적합해 보입니다.

 

ETF 선택 시에는 내가 원하는 시점에 원하는 가격에 매매를 할 수 있어야 합니다. 그래서, 순자산이 클수록 유리합니다.

하지만, 1주당 가격도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실제로, TIGER 미국 나스닥 100 ETF는 1주당 140,785원으로 다른 ETF에 비해 가격이 꽤 높은 편입니다.

무려 6~7배 차이가 나고 있어서, 거래량도 함께 살펴보면 좋겠습니다.

 

 

국내 상장 미국 나스닥 100 ETF 5종 수수료(실부담 비용) 비교 분석

  ACE
미국나스닥100
KODEX
미국나스닥100
RISE
미국나스닥100
SOL
미국나스닥100
TIGER
미국나스닥100
총 보수 0.0700% 0.0062% 0.0062% 0.0500% 0.0068%
TER 0.1600% 0.1100% 0.1400% 0.3600% 0.1900%
실비용 0.1937% 0.1882% 0.1924% 0.5796% 0.2168%

○ 총 보수 = 운용보수 + 신탁보수 + 사무관리보수 + 지정참가회사보수

○ TER(Total Expense Ratio) = 총 보수 + 기타 비용

○ 실비용 = TER + 매매중개수수료

 

KODEX 미국 나스닥 100 ETF가 실비용 0.1882%로, 가장 경쟁력이 있음을 보여줍니다.

RISE 미국 나스닥 100 ETF 0.1924%, ACE 미국 나스닥 100 ETF 0.1937% 로 근소한 차이를 보이고 있습니다.

하지만, TIGER 미국 나스닥 100 ETF 0.2168% , SOL 미국 나스닥 100 ETF 0.5796%으로 상대적으로 실비용 부담이 큽니다.

 

 

국내 상장 미국 나스닥 100 ETF 5종 분배금(배당) 비교 분석

  ACE
미국나스닥100
KODEX
미국나스닥100
RISE
미국나스닥100
SOL
미국나스닥100
TIGER
미국나스닥100
연간
배당률
0.52% - 0.55% 0.49% 0.41%
최근배당 35원
(2025.01.24)
- 38원
(2024.12.27)
25원
(2025.01.24)
70원
(2025.01.24)
월배당 X X X X X

 

KODEX 미국 나스닥 100 ETF는 아직 분배금 정보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최근 TR형에서 PR형으로 변경하면서, 곧 분기배당 하는 것으로 예정되어 있습니다.

 

나머지 ETF들의 배당률은 0.41% ~ 0.55% 정도로 크지 않습니다.

기술주 중심의 미국 나스닥 100은 배당을 지급하기보다는 재투자를 통한 기업 성장을 더 추구하는 경향이 반영된 것으로 보입니다. ETF 5종 모두 월배당은 아닙니다.

 

따라서, 미국 나스닥 100 ETF는 구성종목들의 특성을 고려했을 때, 분배율을 ETF 선택의 기준으로 삼기에는 맞지 않아 보입니다.

또, 어쩌면 최근 불거진 절세계좌에서 이중과세 문제까지 고려한다면, 배당보다는 성장 중심의 ETF를 선택하는 것이 조금 더 좋은 선택일 것 같습니다.

 

 

국내 상장 미국 나스닥 100 ETF 수익률 비교 분석

  ACE
미국나스닥100
KODEX
미국나스닥100
RISE
미국나스닥100
SOL
미국나스닥100
TIGER
미국나스닥100
1개월 2.33% 2.42% 2.67% 2.50% 2.37%
3개월 9.98% 10.02% 10.15% 9.93% 9.92%
6개월 20.12% 20.24% 20.34% 19.96% 20.06%
1년 35.77% 36.11% 36.15%   35.78%
3년 23.94% 24.15% 24.01%   23.91%
5년         22.56%
10년         21.02%

 

5종 ETF 중에, RISE 미국 나스닥 100 ETF가 1월, 3개월, 6개월, 1년 의 수익률이 가장 좋았으며,

KODEX 미국 나스닥 100 ETF가 뒤를 바짝 쫓아가고 있습니다.

 

동일 지수를 추종하기 때문에, RISE 미국 나스닥 100 ETF와 KODEX 미국 나스닥 100 ETF의 수수료가 가장 저렴한 편이어서, 수익률이 좋게 나오는 게 아닌가 싶습니다.

 

5종 ETF 중에서, TIGER, KODEX, RISE, ACE의 성과들을 그래프로 확인해 보겠습니다.

수익률 비교 차트
수익률 비교 차트

 

 

 

마치며

최근 1년간 미국 기술주는 엄청난 상승을 보였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 어떤 미국 나스닥 100 ETF를 선택할 것인가? 

수수료 측면, 안정성 측면, 수익률 측면에서 두루 살펴보았습니다.

 

[전략1]  안정성 1위 ETF 매수 전략

상품의 안정성을 가장 많이 고려한다면, 가장 오래전에 상장했고, 순자산이 가장 큰 TIGER 미국 나스닥 100 ETF를 추천드립니다. 

 

[전략2] 수익률 1위 ETF 매수 전략

투자자의 개인적인 성향에 따라, ETF를 선택하는 기준은 다를 것입니다.

수익률 측면을 가장 많이 고려한다면, RISE 미국 나스닥 100 ETF와 KODEX 미국 나스닥 100 ETF 중에 선택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전략3] 수수료 1위 ETF 매수 전략

투자기간이 길면 길수록 수수료는 수익률에 엄청난 영향력을 발휘하게 됩니다.

수수료율 측면을 가장 많이 고려한다면, KODEX 미국 나스닥 100 ETF와 RISE 미국 나스닥 100 ETF 중에 선택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또 수수료는 운용사들의 경쟁이 치열해질수록 낮아질 것입니다.

그때마다 가장 저렴한 수수료를 보이는 ETF를 매수하는 전략도 추천드립니다.

동시에, 기존 보유 ETF는 매도하지 않습니다. 매도에 따른 세금이 발생할 것이기 때문입니다.

 

[전략4] 종합 전략

안정성, 수익률, 수수료 모두를 고려한다면, TIGER, RISE, KODEX를 1/3 씩 매수하는 전략을 추천드립니다.

TIGER 미국 나스닥 100 ETF를 매수함으로써 안정성 측면을 고려하고,

RISE 미국 나스닥 100 ETF와 KODEX 미국 나스닥 100 ETF를 함께 매수함으로써, 수익률과 수수료 측면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또, 향후 운용사들의 수수료 인하 경쟁이 치열해질 것을 예상하여, 3종 ETF를 모두 매수한다면, 수수료가 하향 평준화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상으로, 국내 상장된 미국 나스닥 100 ETF들을 살펴보았습니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ETF를 매수하는 것입니다.

지금 매수하여, 장기 보유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함께 읽어보면 좋은 글

 성공적인 ETF 투자를 위한 6가지 체크리스트

 미국 S&P 500 지수 추종 국내 ETF 추천

Contents

 

 

투자자가 개별 종목이 아닌, ETF투자로 성공을 하기 위한 선택 기준은 무엇이 있을까요?

이번 글에서는 성공적인 ETF 투자를 위한 6가지 핵심 체크리스트를 정리해 보았습니다.

 

 

 

들어가며

최근 ETF(상장지수펀드) 투자가 점점 인기가 뜨거워지고 있는 가운데, 투자자들이 성공적인 ETF 투자를 위해 고려해야 할 핵심 체크리스트를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ETF는 다양한 자산에 분산 투자 할 수 있는 효율적인 도구입니다만, 올바른 선택이 중요합니다.

개인의 재무상황, 투자기간, 위험 감내 수준 등 자신에 맞는 투자 목표와 전략을 세우는 것이 좋습니다.

장기투자를 목표로 한다면 성장주 중심의 ETF를, 분산투자를 원한다면 다양한 자산군 ETF를 고려하는 것이 올바른 판단입니다.

그리고 수수료가 낮을수록 좋겠죠? 유동성이 높아야겠고요? 

 

이제부터 성공적인 ETF 투자를 위한 체크리스트를 하나하나 살펴보겠습니다.

 

1. 투자 목표 설정

ETF 투자의 첫걸음은 명확한 투자 목표를 설정하는 것입니다. 투자자의 재무 상황, 위험 감내 수준, 투자기간 등을 고려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만일, 투자자의 스타일이 장기 적으로 자산 증식을 목표로 한다면 시장 지수를 추종하는 인덱스 ETF가 적합합니다.

반면, 단기적인 수익을 목표로 한다면, 특정 테마 혹은 특정 섹터 ETF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현금 흐름을 중요시한다면, 배당 성장형 ETF 혹은 고배당 ETF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안정적인 운용을 추구한다면, 주식, 채권, 원자재 등 다양한 자산군의 ETF를 조합하여 균형 잡힌 포트폴리오를 구성하여 리스크를 분산하는 것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2. 비용 효율성: 총보수율(TER)과 거래 비용 등을 고려하여 비용이 낮은 ETF 선택.

비용 효율성은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이는 장기 수익률의 엄청난 영향을 끼치는 요소이기 때문입니다.

당연한 소리겠지만, 다른 조건들이 동일하다면, 낮은 비용은 장기적으로 더 높은 수익률로 이어집니다.

 

총보수율(TER: Total Expense Ratio)은 투자 시 꼭 점검해야 할 지표입니다.

TER은 ETF 운용에 따른 제반 비용을 나타내는데, 펀드매니저의 급여, 운영비, 거래비용, 세금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TER이 낮을수록 투자자의 실제 수익은 높아지므로, 0.5% 이하의 낮은 TER을 가진 ETF를 선택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그러면, TER이 낮은 ETF를 선택하면 되겠네요? TER이 낮을수록 좋습니다.

하지만, 한 가지 비용을 더 고려해야 합니다. 바로 "매매/중개 수수료율"입니다.

TER에 숨어있는 매매/중개 수수료율을 더해야 실제로 ETF에 투자할 때, 발생되는 "총비용"까지 고려해야 합니다.

 

 

3. 유동성: 거래량과 자산 규모를 확인하여 유동성이 높은 ETF 선택.

ETF의 유동성은 투자자가 원하는 시점에 원하는 가격으로 매매할 수 있는 능력을 나타냅니다.

거래량이 많고, 순자산 규모(AUM)가 클수록 유동성이 높아 필요할 때, 매수/매도가 용이합니다.

또, 유동성이 높은 ETF를 선택하면, 거래 비용도 줄일 수 있어, 투자 효율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 순자산 규모(AUM) : ETF의 순자산 규모는 해당 ETF가 시장에서 얼마나 큰지? 크기를 나타냅니다.

일반적으로 순자산이 큰 ETF는 유동성이 높아 거래가 편리하고, ETF의 안정성을 대변하기도 합니다.

 

· 거래량 : ETF의 거래량은 하루동안에 ETF가 거래된 수량을 나타냅니다.

만일, 거래량이 낮다면 매수/매도 주문이 제때 체결되지 않을 수 있으며, 거래량이 높다면 유동성이 높으며 거래가 용이합니다.

 

 

4. 추적 오차: 괴리율과 추적오차율을 확인하여 기초 지수를 잘 추종하는 ETF 선택.

ETF의 핵심 기능은 기초지수를 정확히 추종하는 것입니다.

기초지수의 가치를 얼마나 잘 따라가는지를 보여주는 '괴리율'과 기초지수의 수익률을 얼마나 잘 따라가는지를 보여주는 '추적오차율'을 살펴봐야 합니다.

 

· 괴리율(Tracking Error) : 괴리율은 ETF의 시장가격과 순자산가치(NAV) 간의 차이를 백분율로 나타낸 지표입니다.

즉, ETF가 얼마나 실제 자산 가치를 정확하게 반영하는지를 보여줍니다. 괴리율이 낮을수록 ETF가 기초 지수를 잘 추종하고 있다는 의미이며, 괴리율이 높을수록 기초 지수를 추종하지 못하기 때문에, 투자자는 이 부분을 유심히 살펴봐야 합니다.

 

· 추적오차율(Tracking Difference) : 추적오차율은 ETF의 실제 수익률과 기초 지수의 수익률 간의 차이를 나타낸 지표입니다.

즉, ETF가 기초지수의 수익률을 얼마나 잘 따라가는지를 보여줍니다.

추적오차율이 낮을수록, ETF가 목표로 한 기초지수를 잘 따라가고 있다는 의미이며, 추적오차율이 높을수록 투자자들이 예상했던 수익률을 얻지 못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 NAV(Net Asset Value) : NAV는 ETF가 보유한 자산의 총 가치에서 부채 및 비용을 제외한 실제 자산 가치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즉, ETF의 실제 가치를 보여줍니다. NAV는 하루에 한 번 계산되며, 투자자들은 ETF 가치를 평가하는 데 주요 기준으로 활용합니다.

 

 

5. 기초 지수 분석: ETF 추종 기초 지수의 구성 방식, 포함 종목, 섹터 및 지역 노출도 등을 분석.

ETF가 추종하는 기초 지수의 특성을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지수의 구성 방식, 구성 종목, 리밸런싱 주기 등을 확인해야 합니다.

 

· 기초 지수(Underlying Index) : ETF는 특정 지수를 추종하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이 지수를 기초 지수라고 합니다.

기초 지수는 주가 지수, 채권 지수, 부동산 지수 등 다양한 종류가 있습니다.

투자자는 ETF가 어떤 기초 지수를 따르는지 확인하고, 투자 전략이나 목표에 맞는 ETF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 지수 구성 방식 : 지수 구성 방식은 시가총액 가중 방식, 동일 가중 방식, 펀더멘털 가중 방식 등 다양한 지수 구성 방식이 있습니다.

각 방식의 장단점을 이해하고 투자 목표에 맞는 지수 구성 방식의 ETF를 선택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예를 들어, 같은 S&P 500 지수를 추종하는 ETF에도 시가총액 가중 방식의 ETF와  동일 가중 방식의 ETF가 있습니다.

이는 장기적으로 수익률의 차이를 가져오는 요인이 됩니다.

 

· 섹터 및 지역 노출도 확인 : ETF가 어떤 산업 섹터나 지역에 집중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특정 산업에 대한 전망이 좋다고 판단될 때, 해당 산업에 집중 투자하는 ETF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한 판단입니다.

하지만, 특정 산업에 편중 투자할 경우 시장 변동성에 취약해질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이때, 여러 ETF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한다면,  투자 리스크 어느 정도 관리할 수 있습니다. 

 

 

6. 운용사의 신뢰성: ETF를 운용하는 자산운용사의 경험, 트랙 레코드, 평판 등을 고려.

ETF를 운용하는 자산운용사의 신뢰성과 경험도 ETF 선택할 때, 중요한 선택 기준입니다.

해당 운용사가 얼마나 오랫동안 ETF를 운용해 왔는지, 과거 성과는 어떠한지 등을 확인하고 ETF를 선택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장기간 안정적인 운용 실적을 보여준 운용사의 ETF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마치며 : 장기적 관점의 ETF 투자 전략

성공적인 ETF 투자를 위해서는, 위의 6가지 체크리스트 외에 고려해야 할 사항들이 더 있습니다.

 

· 시장 상황에 따른 유연한 대응 : 현재의 시장상황과 향후 전망을 고려해야 합니다.

경기 사이클, 금리 환경, 글로벌 경제 동향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ETF 포트폴리오를 조정할 필요가 있습니다.

 

· 정기적인 포트폴리오 리밸런싱 : 정기적인 리벨린싱도 성공적인 ETF 투자의 필수 요소입니다.

분기별 또는 반기별로 정기적인 리밸런싱을 실시하여 포트폴리오의 위험과 수익성을 일정하게 유지합니다.

이를 통해 특정 자산에 과도하게 집중하는 것을 방지하고 분산 투자 효과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습니다. 

 

· 성향과 맞는 투자 전략 :  끝으로, 성공적인 ETF 투자를 위해서는 투자자 자신의 투자 성향과 전략을 명확히 인식해야 합니다.

ETF는 효율적인 투자 도구이지만, 투자자의 현명한 판단과 전략이 뒷받침되어야 진정한 가치를 발휘할 것입니다.

ETF 투자의 장점을 최대한 활용하고, 투자 성향과 맞는 투자전략은 성공적인 ETF 투자의 핵심입니다.

Contents

 

 

최근 인공지능(AI)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해 전력 수요가 급증하면서, AI 전력 인프라에 투자하는 ETF들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에, 국내 증시에 상장된 'AI전력' 관련 ETF들을 비교 분석하고자 합니다.

 

먼저, 주요 AI 전력 관련 국내 상장 ETF의 목록부터 보겠습니다.

1. SOL 미국AI전력인프라 ETF (486450)

2. KODEX 미국AI전력핵심인프라 ETF (487230)

3. KODEX AI전력핵심설비 ETF (486240)

4. TIGER 글로벌AI인프라액티브 ETF (491010)

5. HANARO 전력설비투자 ETF (453870)

 

 

기본 정보 비교(기준일 2025.02.12)

  SOL 미국AI전력
인프라 ETF
KODEX 미국AI전력핵심인프라 ETF KODEX AI전력핵심설비 ETF TIGER 글로벌AI
인프라액티브 ETF
HANARO 전력설비투자 ETF
운용사 신한자산운용 삼성자산운용 삼성자산운용 미래에셋자산운용 NH-Amundi자산운용
상장일 2024.07.16 2024.07.09 2024.07.09 2024.09.10 2024.09.24
기초지수          
순자산 1,905억원 4,000억원 1,279억원 646억원 119억원
연간배당률   0.18%      
최근배당 - 25원
(2025.01.24)
- - -
월배당 X X X X X
총보수 0.4500% 0.4500% 0.3900% 0.4900% 0.3500%
TER 0.5300% 0.5000% 0.4300% 0.5600% 0.3900%
실비용 0.8461% 0.7862% 0.4723% 0.7517% 0.3965%
괴리률 0.19% 0.34% -0.15% 0.35% -0.18%
추적오차율 0.32% 0.54% 0.28% 11.83% 0.23%

 

○ 상장일 : 5개 ETF가 2024년 7월~9월에 상장되어, 대동소이합니다.

○ 순자산 : 상장일이 모두 비슷한 상황에서,  KODEX 미국AI전력핵심인프라 ETF > SOL 미국AI전력인프라 ETF > KODEX AI전력핵심설비 ETF 순입니다. TIGER 글로벌AI인프라액티브 ETF와 HANARO 전력설비투자 ETF는 자산이 1천억 원 미만입니다.

○ 배당 : 5개 ETF중에서 유일하게 KODEX 미국AI전력핵심인프라 ETF가 배당을 지급합니다.

○ 수수료 : 투자자에게 중요한 수수료는 KODEX AI전력핵심설비 ETF가 제일 저렴합니다.

 

 

구성 종목 비교 (기준일 2025.02.12)

NO SOL 미국AI전력
인프라 ETF
KODEX 미국AI전력핵심인프라 ETF KODEX AI전력핵심
설비 
ETF
TIGER 글로벌AI
인프라액티브 ETF
HANARO 전력설비투자 ETF
1 CEG
12.2%
GEV
17.51%
LS ELECTRIC
23.20%
VRT
8.15%
LS ELECTRIC
22.15%
2 VRT
9.40%
CEG
14.60%
HD현대일렉트릭
17.34%
ANET
8.11%
HD현대일렉트릭
17.35%
3 GEV
6.96%
ANET
12.84%
효성중공업
15.24%
GEV
8.04%
효성중공업
14.50%
4 OKLO
6.45%
VST
12.56%
LS
13.91%
CEG
8.00%
LS
13.21%
5 VST
6.05%
TT
8.78%
대한전선
10.18%
VST
7.81%
대한전선
9.67%
6 NEE
5.78%
ETN
8.75%
산일전기
6.06%
CCJ
4.61%
산일전기
5.76%
7 ETN
5.73%
VRT
7.75%
LS에코에너지
3.53%
SIEMENS ENERGY AG
4.32%
LS에코에너지
3.35%
8 PWR
4.83%
ENE
7.43%
일진전기
3.16%
TSLA
4.03%
일진전기
3.00%
9 EXC
4.55%
PWR
5.68%
제룡전기
3.08%
SMR
3.92%
제룡전기
2.92%
10 PEG
4.48%
SMR
3.76%
가온전선
1.95%
ETN
3.69%
가온전선
1.85%

 

구성종목 비교 

구성종목들을 보면, 글로벌 시장 ETF와 국내 시장 ETF로 나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SOL 미국AI전력인프라, KODEX 미국AI전력핵심인프라, TIGER 글로벌AI인프라액티브 ETF는 해외 종목들로 구성되어있고, CEG, VRT, GEV, VST, ETN 등 5개 종목을 공통으로 구성하고 있습니다.

그중에 KODEX 미국AI전력핵심인프라는 구성종목의 1,2,3,4위 4개 종목의 비중이 50% 이상인 부분이 다른 ETF와 차이점입니다.

다른 ETF들은 비교적 종목들의 비중이 비슷한 특성이 있습니다.

 

KODEX AI전력핵심설비, HANARO AI전력설비투자 ETF는 국내 종목들로 구성되어 있고, 구성종목들과 비중도 거의 유사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개의 ETF는 전략이 유사하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ETF는 구성 종목의 차이, 구성 종목별 비중의 차이, 실비용(수수료) 등으로 인해 투자 성과가 차이가 나게 됩니다.

이번에는 실제 기간별 수익률을 그래프를 통해 확인해 보겠습니다.

 

 

수익률 비교

 

1개월 수익률 비교

먼저, 최근 1개월 동안의 수익률을 살펴보겠습니다.

최근 1개월 수익률 비교 차트
최근 1개월 수익률 비교 차트

 

최근 1개월의 수익률은 KODEX AI전력핵심설비 13.96%로 1위, SOL 미국AI전력인프라 7.64%로 2위, KODEX 미국AI전력핵심인프라 2.40%로 3위를 보이고 있습니다. 

 

3개월 수익률 비교

다음은 기간을 3개월로 늘려 살펴보겠습니다.

3개월 수익률 비교 차트
3개월 수익률 비교 차트

 

최근 3개월의 수익률은 KODEX AI전력핵심설비 18.35%로 1위, SOL 미국AI전력인프라 9.25%로 2위, KODEX 미국AI전력핵심인프라 7.25%로 3위를 보이고 있습니다. 

 

6개월 수익률 비교

6개월 수익률 비교 차트
6개월 수익률 비교 차트

 

최근 6개월의 수익률은 SOL 미국AI전력인프라 61.72%로 1위,  KODEX 미국AI전력핵심인프라 49.92%로 2위, KODEX AI전력핵심설비 31.06%로 3위를 보이고 있습니다. 

 

 

1년 수익률 비교

1년 수익률 비교 차트
1년 수익률 비교 차트

 

 

아직 1년이 되지 않았지만, 상장 이후의 수익률은 SOL 미국AI전력인프라 52.40%로 1위,  KODEX 미국AI전력핵심인프라 38.41%로 2위, KODEX AI전력핵심설비 9.19%로 3위를 보이고 있습니다. 

 

 

최근 1개월, 3개월 의 수익률은 국내 전력 인프라 시장에 투자하는 KODEX AI전력핵심설비 ETF가 가장 높은 수익률을 보였으나, 기간을 늘려 6개월, 1년의 수익률은 SOL 미국AI전력인프라 ETF가 가장 높은 수익률을 보여주었습니다.

 

마치며 (투자시 고려사항 및 추천)

AI 기술의 발전과 함께 데이터센터 및 관련 인프라에 대한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에, 전력 인프라 ETF들의 성장 잠재력은 높다고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최근에 중국 AI 딥시크의 저전력 AI 모델 발표로 인해, 전력 수요가 감소될 것이다는 우려가 제기되면서,

ETF들의 주가가 일시적으로 모두 하락하는 것을 수익률 그래프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투자자는 이러한 시장 변동성을 고려하여 신중한 투자결정을 내려야 합니다.

그리고 각 ETF는 고유의 특징과 투자 전략을 가지고 있기에, ETF를 선택하기에 앞서 구성종목과 투자 전략, 그리고 해당 산업의 장기적인 성장 전망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AI 전력 인프라는 장기적인 성장 가능성이 높은 분야 입니다.

단기적인 변동성에 휘둘리지 않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긴 호흡으로 투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리고, 글로벌 AI 전력 인프라에 투자할 것이냐?, 국내 AI 전력 인프라에 투자할 것이냐? 투자 시장을 정하고, 이에 따라 ETF를 선택하게 됩니다.

단일 ETF로 집중투자하기보다는 AI전력 인프라의 여러 ETF에 분산투자하는 것은 리스크를 줄일 수 있는 최선의 방법입니다.

즉, SOL 미국AI전력인프라 ETF vs KODEX AI전력핵심설비 ETF를 50%의 동일비중, 또는 70% : 30%, 60% : 40% 등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하여, 글로벌시장과 국내시장 모두에 투자하는 전략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함께 읽어보면 좋은 글

성공적인 ETF 투자를 위한 6가지 체크리스트

 

CONTENTS

1. S&P500 지수를 추종하는 국내 ETF 리스트

2. 수수료 측면  

3. 안정성 측면

4. 수익률 측면

5. 결론 

 

 

 

미국 S&P500 지수는 전 세계 투자자들이 가장 선호하는 대표 주가지수 중 하나입니다.

국내에서도 다양한 운용사에서 S&P500 지수 추종 ETF를 출시하여 치열한 경쟁을 펼치고 있습니다.

S&P500 지수를 추종하는 국내 ETF를 다양한 관점에서 비교해 보겠습니다.

 

1. S&P500 지수를 추종하는 국내 ETF 리스트

1. TIGER 미국S&P500 ETF (360750)

2. KODEX 미국S&P500 ETF

3. ACE 미국S&P500 ETF (360200)

4. RISE 미국S&P500 ETF (379780)

5. SOL 미국S&P500 ETF (433330)

6. WON 미국S&P500 ETF (444490)

7. KIWOM 미국S&P500 ETF (449770)

8. PLUS 미국S&P500 ETF (429760)

 

 

 

2. 수수료 측면 

먼저, 수수료 측면에서 비교해 보겠습니다.

흔히, 총보수율 또는 총보수비용비율(TER)로 광고를 많이 하여, 투자자로 하여금 혼돈을 야기하곤 합니다.

투자 관점에서 볼 때, 투자자가 실제로 부담하는 총비용률을 봐야 합니다.

 

< ETF별 실비용 비교>

ETF 명 운용사 총보수 TER 실비용 순위
RISE 미국S&P500 KB자산운용 0.0100% 0.1000% 0.1633% 1
ACE 미국S&P500 한국투자신탁운용 0.0700% 0.1400% 0.1725% 2
TIGER 미국S&P500 미래에셋 0.0068% 0.1500% 0.2013% 3
KODEX 미국S&P500 삼성자산운용 0.0099% 0.0900% 0.2349% 4
SOL 미국S&P500 신한자산운용 0.0500% 0.1400% 0.2402% 5
KIWOM 미국S&P500 키움투자자산운용 0.0210% 0.1200% 0.2892% 6
WON 미국S&P500 우리자산운용 0.0500% 0.2000% 0.3240% 7
PLUS 미국S&P500 한화자산운용 0.0700% 0.3500% 0.6370% 8

*실비용 : 실제 투자자가 부담하는 총비용률 = TER + 매매중개수수료율

*TER : 총보수 비용 비율(Total Expense Ratio) = (총보수 + 기타 비용) / 순자산

*기준일 : 2024.12.31

 

▶ 분석 : 미국 S&P500 지수 추종 ETF는 비교적 장기투자가 적합한 상품이기에, 투자자가 실제로 부담하는 비용이 적을수록 적습니다. 투자기간이 길어지면, 복리효과로 인해 수익금의 차이가 매우 커지기 때문입니다.

총 8개 중에서 상위 4개 RISE 미국S&P500, ACE 미국S&P500, TIGER 미국S&P500, KODEX 미국S&P500 가 상대적으로 우수해 보입니다.

 

 

3. 안정성 측면

ETF를 선택할 때, ETF의 자산규모와 상장일도 함께 살펴봐야 합니다. 

자산규모가 너무 적거나 상장된 지 얼마 되지 않았다면, 해당 ETF가 안정적이다고 판단하기에는 이르기 때문입니다.

 

< ETF별 순자산(AUM), 상장일 비교>

ETF명 운용사 순자산(AUM) 상장일 순위
TIGER 미국S&P500 미래에셋 79,770억 원 2020.08.07 1
KODEX 미국S&P500 삼성자산운용 38,533억 원 2021.04.09 2
ACE 미국S&P500 한국투자신탁운용 18,667억 원 2020.08.07 3
RISE 미국S&P500 KB자산운용 8,901억 원 2021.04.09 4
SOL 미국S&P500 신한자산운용 1,446억 원 2022.06.21 5
KIWOM 미국S&P500 키움투자자산운용 884억 원 2022.12.20 6
WON 미국S&P500 우리자산운용 331억 원 2022.10.06 7
PLUS 미국S&P500 한화자산운용 227억 원 2022.05.31 8

 

▶ 분석 : 순자산과 상장일을 종합해 보면, 상장일은 모두 2~4년 정도여서, 대동소이합니다.

자산규모가 1조 이상인, TIGER 미국S&P500, KODEX 미국S&P500, ACE 미국S&P500 3개 ETF가 안정성 측면에서 우수해 보입니다.

 

4. 수익률 측면

수수료, 안정성 측면을 고려해보았을 때, 8개 ETF 중에 4개 ETF로 추려집니다.

마지막으로 수익률을 확인해 보겠습니다.

1개월, 3개월, 6개월, 1년, 3년으로 각각 비교해 보겠습니다.

4개 ETF를 동시에 비교할 수 있는 기간이 최대 3년이기 때문입니다.

수익률 정보는 ETF CHECK 사이트를 참조하였습니다.

 

 

○ 최근 1개월 수익률 비교

KODEX, RISE, ACE, TIGER 1개월 수익률 비교
KODEX, RISE, ACE, TIGER 1개월 수익률 비교

 

 

○ 최근 3개월 수익률 비교

KODEX, RISE, ACE, TIGER 3개월 수익률 비교
KODEX, RISE, ACE, TIGER 3개월 수익률 비교

 

○ 최근 6개월 수익률 비교

KODEX, RISE, ACE, TIGER 6개월 수익률 비교
KODEX, RISE, ACE, TIGER 6개월 수익률 비교

 

○ 최근 1년 수익률 비교

KODEX, RISE, ACE, TIGER 1년 수익률 비교
KODEX, RISE, ACE, TIGER 1년 수익률 비교

 

 

○ 최근 3년 수익률 비교

KODEX, RISE, ACE, TIGER 3년 수익률 비교
KODEX, RISE, ACE, TIGER 3년 수익률 비교

 

 

위의 그래프를 표로 정리해 보겠습니다.

 

< 수익률 비교표 >

  1개월 3개월 6개월 1년 3년
KODEX 미국S&P500 1.41% 6.26% 21.85% 35.02% 68.60%
ACE 미국S&P500 1.40% 6.19% 21.66% 34.87% 68.20%
RISE 미국S&P500 1.41% 6.17% 21.84% 35.01% 67.84%
TIGER 미국S&P500 1.39% 6.18% 21.69% 34.85% 67.62%

 

▶ 분석 : KODEX 미국S&P500 ETF가 최근 1개월, 최근 3개월, 최근 6개월, 최근 1년, 최근 3년 모두 수익률 측면에서 1위를 보이고 있습니다.

 

 

 

5. 결론 : 어떤 미국S&P500 ETF를 어떻게 선택할 것인가?

 

[ 전략 1 ] 수익률 1위 ETF 매수 전략

수수료 측면, 안정성 측면, 수익률 측면에서 두루 살펴보았습니다.

투자자의 성향에 따라, ETF를 선택하는 기준은 다를 것입니다.

수익률 측면을 가장 많이 고려한다면, KODEX 미국 S&P500 ETF를 추천드립니다.

 

[ 전략 2 ] 수수료 1위 ETF 매수 전략

기간이 길면 길수록 수수료는 수익률에 엄청난 영향을 끼치게 됩니다.

4개의 ETF 모두 상장한 지 채 10년도 지나지 않았습니다.

10년, 20년 장기투자할 계획이라면, 수수료가 제일 저렴한 RISE 미국S&P500 ETF를 추천드립니다.

 

또, 수수료는 운용사의 경쟁이 치열해질수록 낮아지게 되어 있습니다.

그때마다 가장 저렴한 수수료를 보이는 ETF를 매수하는 투자 전략을 가져가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다만, 기존의 보유 ETF는 매도하지 않습니다.

매도에 따른 세금이 별도로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 전략 3 ] 수수료 평균화 전략

수수료를 매번 체크하기 번거롭고, 어려우시다면,

위의 4개 ETF를 모두 매수하는 투자 전략을 가져가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수수료 경쟁이 치열하기에, 4개 모두 매수한다면, 수수료의 평균화가 되기 때문입니다.

 

 

이상으로, S&P500 지수를 추종하는 국내 ETF를 살펴보았습니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 S&P500 ETF를 매수하여 장기보유 하는 것입니다.

지금 바로 매수하여 장기보유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함께 읽어보면 좋은 글

· 성공적인 ETF 투자를 위한 6가지 체크리스트

· KODEX 미국S&P500 TR vs KODEX 미국S&P500 비교 분석

· IVV, S&P 500 ETF 수익률 1위 차지

· S&P500 ETF 삼국지: SPY·VOO·IVV 장단점과 수익률 비교 분석

· S&P 500 ETF의 수익률이 개별 기업 대비 수익률보다 안정적인 이유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