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금융·재테크·주식

AI전력인프라 관련 국내상장 ETF 비교 분석

Contents

 

 

최근 인공지능(AI)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해 전력 수요가 급증하면서, AI 전력 인프라에 투자하는 ETF들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에, 국내 증시에 상장된 'AI전력' 관련 ETF들을 비교 분석하고자 합니다.

 

먼저, 주요 AI 전력 관련 국내 상장 ETF의 목록부터 보겠습니다.

1. SOL 미국AI전력인프라 ETF (486450)

2. KODEX 미국AI전력핵심인프라 ETF (487230)

3. KODEX AI전력핵심설비 ETF (486240)

4. TIGER 글로벌AI인프라액티브 ETF (491010)

5. HANARO 전력설비투자 ETF (453870)

 

 

기본 정보 비교(기준일 2025.02.12)

  SOL 미국AI전력
인프라 ETF
KODEX 미국AI전력핵심인프라 ETF KODEX AI전력핵심설비 ETF TIGER 글로벌AI
인프라액티브 ETF
HANARO 전력설비투자 ETF
운용사 신한자산운용 삼성자산운용 삼성자산운용 미래에셋자산운용 NH-Amundi자산운용
상장일 2024.07.16 2024.07.09 2024.07.09 2024.09.10 2024.09.24
기초지수          
순자산 1,905억원 4,000억원 1,279억원 646억원 119억원
연간배당률   0.18%      
최근배당 - 25원
(2025.01.24)
- - -
월배당 X X X X X
총보수 0.4500% 0.4500% 0.3900% 0.4900% 0.3500%
TER 0.5300% 0.5000% 0.4300% 0.5600% 0.3900%
실비용 0.8461% 0.7862% 0.4723% 0.7517% 0.3965%
괴리률 0.19% 0.34% -0.15% 0.35% -0.18%
추적오차율 0.32% 0.54% 0.28% 11.83% 0.23%

 

○ 상장일 : 5개 ETF가 2024년 7월~9월에 상장되어, 대동소이합니다.

○ 순자산 : 상장일이 모두 비슷한 상황에서,  KODEX 미국AI전력핵심인프라 ETF > SOL 미국AI전력인프라 ETF > KODEX AI전력핵심설비 ETF 순입니다. TIGER 글로벌AI인프라액티브 ETF와 HANARO 전력설비투자 ETF는 자산이 1천억 원 미만입니다.

○ 배당 : 5개 ETF중에서 유일하게 KODEX 미국AI전력핵심인프라 ETF가 배당을 지급합니다.

○ 수수료 : 투자자에게 중요한 수수료는 KODEX AI전력핵심설비 ETF가 제일 저렴합니다.

 

 

구성 종목 비교 (기준일 2025.02.12)

NO SOL 미국AI전력
인프라 ETF
KODEX 미국AI전력핵심인프라 ETF KODEX AI전력핵심
설비 
ETF
TIGER 글로벌AI
인프라액티브 ETF
HANARO 전력설비투자 ETF
1 CEG
12.2%
GEV
17.51%
LS ELECTRIC
23.20%
VRT
8.15%
LS ELECTRIC
22.15%
2 VRT
9.40%
CEG
14.60%
HD현대일렉트릭
17.34%
ANET
8.11%
HD현대일렉트릭
17.35%
3 GEV
6.96%
ANET
12.84%
효성중공업
15.24%
GEV
8.04%
효성중공업
14.50%
4 OKLO
6.45%
VST
12.56%
LS
13.91%
CEG
8.00%
LS
13.21%
5 VST
6.05%
TT
8.78%
대한전선
10.18%
VST
7.81%
대한전선
9.67%
6 NEE
5.78%
ETN
8.75%
산일전기
6.06%
CCJ
4.61%
산일전기
5.76%
7 ETN
5.73%
VRT
7.75%
LS에코에너지
3.53%
SIEMENS ENERGY AG
4.32%
LS에코에너지
3.35%
8 PWR
4.83%
ENE
7.43%
일진전기
3.16%
TSLA
4.03%
일진전기
3.00%
9 EXC
4.55%
PWR
5.68%
제룡전기
3.08%
SMR
3.92%
제룡전기
2.92%
10 PEG
4.48%
SMR
3.76%
가온전선
1.95%
ETN
3.69%
가온전선
1.85%

 

구성종목 비교 

구성종목들을 보면, 글로벌 시장 ETF와 국내 시장 ETF로 나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SOL 미국AI전력인프라, KODEX 미국AI전력핵심인프라, TIGER 글로벌AI인프라액티브 ETF는 해외 종목들로 구성되어있고, CEG, VRT, GEV, VST, ETN 등 5개 종목을 공통으로 구성하고 있습니다.

그중에 KODEX 미국AI전력핵심인프라는 구성종목의 1,2,3,4위 4개 종목의 비중이 50% 이상인 부분이 다른 ETF와 차이점입니다.

다른 ETF들은 비교적 종목들의 비중이 비슷한 특성이 있습니다.

 

KODEX AI전력핵심설비, HANARO AI전력설비투자 ETF는 국내 종목들로 구성되어 있고, 구성종목들과 비중도 거의 유사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개의 ETF는 전략이 유사하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ETF는 구성 종목의 차이, 구성 종목별 비중의 차이, 실비용(수수료) 등으로 인해 투자 성과가 차이가 나게 됩니다.

이번에는 실제 기간별 수익률을 그래프를 통해 확인해 보겠습니다.

 

 

수익률 비교

 

1개월 수익률 비교

먼저, 최근 1개월 동안의 수익률을 살펴보겠습니다.

최근 1개월의 수익률은 KODEX AI전력핵심설비 13.96%로 1위, SOL 미국AI전력인프라 7.64%로 2위, KODEX 미국AI전력핵심인프라 2.40%로 3위를 보이고 있습니다. 

 

3개월 수익률 비교

다음은 기간을 3개월로 늘려 살펴보겠습니다.

최근 3개월의 수익률은 KODEX AI전력핵심설비 18.35%로 1위, SOL 미국AI전력인프라 9.25%로 2위, KODEX 미국AI전력핵심인프라 7.25%로 3위를 보이고 있습니다. 

 

6개월 수익률 비교

최근 6개월의 수익률은 SOL 미국AI전력인프라 61.72%로 1위,  KODEX 미국AI전력핵심인프라 49.92%로 2위, KODEX AI전력핵심설비 31.06%로 3위를 보이고 있습니다. 

 

 

1년 수익률 비교

아직 1년이 되지 않았지만, 상장 이후의 수익률은 SOL 미국AI전력인프라 52.40%로 1위,  KODEX 미국AI전력핵심인프라 38.41%로 2위, KODEX AI전력핵심설비 9.19%로 3위를 보이고 있습니다. 

 

 

최근 1개월, 3개월 의 수익률은 국내 전력 인프라 시장에 투자하는 KODEX AI전력핵심설비 ETF가 가장 높은 수익률을 보였으나, 기간을 늘려 6개월, 1년의 수익률은 SOL 미국AI전력인프라 ETF가 가장 높은 수익률을 보여주었습니다.

 

마치며 (투자시 고려사항 및 추천)

AI 기술의 발전과 함께 데이터센터 및 관련 인프라에 대한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에, 전력 인프라 ETF들의 성장 잠재력은 높다고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최근에 중국 AI 딥시크의 저전력 AI 모델 발표로 인해, 전력 수요가 감소될 것이다는 우려가 제기되면서,

ETF들의 주가가 일시적으로 모두 하락하는 것을 수익률 그래프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투자자는 이러한 시장 변동성을 고려하여 신중한 투자결정을 내려야 합니다.

그리고 각 ETF는 고유의 특징과 투자 전략을 가지고 있기에, ETF를 선택하기에 앞서 구성종목과 투자 전략, 그리고 해당 산업의 장기적인 성장 전망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AI 전력 인프라는 장기적인 성장 가능성이 높은 분야 입니다.

단기적인 변동성에 휘둘리지 않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긴 호흡으로 투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리고, 글로벌 AI 전력 인프라에 투자할 것이냐?, 국내 AI 전력 인프라에 투자할 것이냐? 투자 시장을 정하고, 이에 따라 ETF를 선택하게 됩니다.

단일 ETF로 집중투자하기보다는 AI전력 인프라의 여러 ETF에 분산투자하는 것은 리스크를 줄일 수 있는 최선의 방법입니다.

즉, SOL 미국AI전력인프라 ETF vs KODEX AI전력핵심설비 ETF를 50%의 동일비중, 또는 70% : 30%, 60% : 40% 등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하여, 글로벌시장과 국내시장 모두에 투자하는 전략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함께 읽어보면 좋은 글

성공적인 ETF 투자를 위한 6가지 체크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