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 마치며
최근 투자자들 사이에서 양자컴퓨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상대적으로 사이버보안 산업에 대한 투자자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에, 주요 사이버보안 ETF 5종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국내 시장에 상장된 사이버보안 ETF는 TIGER 글로벌 AI사이버보안 ETF 하나뿐입니다.
반면, 해외 시장에 상장된 사이버보안 ETF는 5종 정도입니다.
1. WisdomTree Cybersecurity Fund (WCBR)
2. Global X Cybersecurity ETF (BUG)
3. First Trust NASDAQ Cybersecurity ETF (CIBR)
4. ETFMG Prime Cyber Security ETF (HACK)
5. iShares Cybersecurity and Tech ETF (IHAK)
이번 글에서는 국내 ETF 말고, 해외 ETF 5종에 대해서 비교해 보겠습니다.
사이버보안 ETF 5종 개요
WCBR | BUG | CIBR | HACK | IHAK | |
운용사 | Wisdom Tree | Global X Funds | First Trust | Amplify ETFs | iShares |
상장일 | 2021.01.26 | 2019.10.25 | 2015.07.06 | 2014.11.11 | 2019.06.11 |
순자산(AUM) | $132.8M | $910.4M | $8,076.7M | $2,092.4M | $938.7M |
먼저, 운용사, 상장일, 순자산규모입니다.
HACK와 CIBR이 가장 오래된 약 10~11년 차 ETF로, 사이버보안 ETF 시장의 선구자적인 역할을 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순자산규모를 보아도, CIBR이 1위, HACK가 2위로, 5종 ETF 중에서 규모가 큰 ETF입니다.
오래된 CIBR과 HACK 2종이 상장일과 순자산 규모 면에서는 가장 앞선 ETF입니다.
사이버보안 ETF 5종 수수료(실부담비용) 비교
WCBR | BUG | CIBR | HACK | IHAK | |
총보수 | - | - | - | - | - |
TER | 0.45% | 0.50% | 0.59% | 0.60% | 0.47% |
실비용 | 0.45% | 0.50% | 0.59% | 0.60% | 0.47% |
■ TER(Total Expense Ratio) = 운용보수 + 기타 비용
■ 실비용(Net Expense Ratio) = TER + 수수료 면제
TER과 실비용이 가장 낮은 ETF를 순서대로 나열하면, WCBR > IHAK > BUG > CIBR > HACK입니다.
BUG 0.5%를 기준으로 WCBR은 0.45%, IHAK는 0.47%로 낮은 편에 속합니다.
그리고 BUG 0.5%를 기준으로 CIBR 0.59%, HACK 0.6%로 높은 편에 속합니다.
수수료의 차이가 실제로 수익률에 얼마나 영향을 끼치는지 확인해 보겠습니다.
사이버보안 ETF 5종 분배금(배당) 비교
WCBR | BUG | CIBR | HACK | IHAK | |
연간배당률 | 0.02% | 0.09% | 0.27% | 0.13% | 0.2% |
최근배당 | $0.01 | $0.03 | $0.08 | $0.05 | $0.10 |
최근 배당일자 | 2024.12.26 | 2024.12.30 | 2024.12.13 | 2024.12.30 | 2024.12.17 |
배당주기 | 연 1회 (12) |
연 1회 (12) |
연 4회 (3,6,9,12) |
연 4회 (3,6,9,12) |
연 2회 (6,12) |
연간배당률로 보면 CIBR이 0.27%로 가장 높고, 다음으로 IHAK가 0.2%로 높습니다.
사이보보안 ETF 5종 모두 연간배당률이 그리 높지 않습니다.
그래서, 연간배당률을 ETF 선택의 기준이 되기에는 맞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배당이 적은 것보다 많은 것이 낫다는 부가적인 요소로 접근하는 것이 맞을 거 같습니다.
사이버보안 ETF 5종 수익률 비교
WCBR | BUG | CIBR | HACK | IHAK | |
1개월 | -6.00% | -1.97% | -1.48% | -2.85% | -4.43% |
3개월 | 2.48% | 1.14% | 5.07% | 4.78% | -2.95% |
6개월 | 15.75% | 9.96% | 13.03% | 14.26% | 0.88% |
YTD | 4.71% | 5.55% | 4.19% | 2.51% | -0.14% |
1년 | 10.35% | 12.26% | 16.58% | 18.97% | 2.38% |
3년 | 7.67% | 3.75% | 10.01% | 10.20% | 5.52% |
5년 | 17.18% | 19.18% | 14.61% | 13.90% | |
10년 | 10.60% |
수익률을 기간 별로 살펴보면, 최근 1개월은 CIBR, BUG가 좋았습니다.
YTD(연초대비) 수익률은 BUG, WCBR의 성과가 좋았습니다.
최근 3개월의 수익률은 CIBR, HACK의 성과가 좋았습니다.
최근 6개월의 수익률은 WCBR, HACK의 성과가 좋았습니다.
1년, 3년의 수익률은 HACK, CIBR의 성과가 좋았습니다.
5년의 수익률은 CIBR, BUG의 성과가 좋았습니다.
10년의 수익률은 HACK의 성과가 좋았습니다.
대체적으로 CIBR과 HACK의 성과가 단기 장기 수익률 모두 좋은 것으로 확인됩니다.
IHAK를 제외한, WCBR, BUG, CIBR, HACK의 수익률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먼저, 최근 1년의 수익률 그래프입니다.
다음으로, 최근 3년의 수익률 그래프입니다.
사이버보안 ETF 5종 구성종목 비교
대부분의 ETF가 Crowd Strike(CRWD)와 Palo Alto Networks(PANW) 등 공통적으로 보유하고 있으나,
각 ETF마다 특색 있는 종목 구성을 보이고 있습니다.
바로 이러한 구성종목들의 차이가 수익률의 차이로 나타납니다.
각 ETF의 구성종목을 비교해 보면 다음과 같은 특징을 보입니다.
1. WCBR : 사이버보안 및 보안 지향 기술 기업에 집중
2. BUG : 글로벌 사이버보안 기업에 집중
3. CIBR : 나스닥 CTA Cybersecurity 지수를 추종
4. HACK : 사이버보안 솔루션 제공 기업에 집중
마치며
최근 양자컴퓨터와 AI가 주목을 받으면서, 사이버보안에 대한 관심도 매우 커졌습니다.
AI 가 발전함에 따라, 사이버보안 산업에 지속적인 성장 잠재력은 무궁무진하다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사이버보안 ETF는 특정 기술섹터에 집중되어 높은 변동성을 보일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이에, 장기적인 관점으로 긴 호흡을 가지고 꾸준히 적립식으로 준비해야 합니다.
아울러, 사이버보안 ETF에서 CIBR과 HACK가 중장기적으로 수익률이 가장 높았습니다.
이에, CIBR, HACK 2개의 ETF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하여 함께 매수하는 전략을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그리하면, 사이버보안 ETF 투자를 통해 성장하는 산업의 잠재력을 활용하면서 리스크를 관리할 수 있을 것입니다.
함께 읽어보면 좋은 글
'경제·금융·재테크·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월배당 ETF 수익률·배당률 비교 분석(DLN, DON, DES, DTD, DGRW, DHS) (1) | 2025.03.15 |
---|---|
국내 미국 나스닥 100 ETF 5종 수수료, 수익률, 분배금 등 비교 분석 (0) | 2025.02.22 |
성공적인 ETF 투자를 위한 6가지 체크리스트 (0) | 2025.02.17 |
AI전력인프라 관련 국내상장 ETF 비교 분석 (0) | 2025.02.15 |
미국S&P500 지수 추종 국내 ETF 추천 (0) | 2025.02.08 |
KODEX 미국S&P500 TR vs KODEX 미국S&P500 비교 분석 (0) | 2025.02.08 |
IVV, S&P 500 ETF 수익률 1위 차지 (1) | 2025.02.02 |
S&P500 ETF 삼국지: SPY·VOO·IVV 장단점과 수익률 비교 분석 (0) | 2025.0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