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8월 25일 자 한국경제신문에서, "원전 · SMR 등 AI 인프라 株 주목할 만" 제목의 기사를 보았습니다.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82483811)

 

원전 · SMR 등 AI 인프라 株 주목할 만
한국경제신문 "원전 · SMR 등 AI 인프라 株 주목할 만 "

 

기사의 내용을 간략히 요약해 보았습니다.

헤드라인: "AI 인프라 투자 전략 - 원전·SMR 주목, 미국 비중 70% 유지 추천"

 

한국투자신탁운용 최민규 글로벌주식운용담당은 미국 증시 약세 우려에도 불구하고 미국 주식 비중을 70% 이상 유지할 것을 권고했습니다. 매그니피센트7(M7) 등 AI 빅테크와 반도체 기업 투자 전략이 여전히 유효하다고 강조하며, AI 산업에서의 미국 독점 구조가 지속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특히 전력주와 원전·소형모듈원전(SMR) 등 AI 인프라 관련 종목에 주목할 것을 조언했으며, 미국 기업으로는 레딧, 페이팔 등 AI 활용에 적극적인 기업들을 추천했습니다.

 

국내 투자의 경우 포트폴리오의 10~20%를 국내 주식으로 구성하되, 조선·방위산업·원전·콘텐츠·뷰티 등 K수출이 강세인 분야에 집중할 것을 제안했습니다. 한투운용은 이러한 전략을 반영한 '한국투자한미핵심성장포커스' 펀드를 9월 출시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그래서, 한번 찾아보았습니다.

원전 · SMR 관련된 ETF는 무엇이 있고, 각각의 ETF는 어떤 기초지수를 따르는지, 그리고 정량적으로 비교해 보았습니다. 
ETF를 선택하는데,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ETF CHECK 사이트에서 "원자력" 키워드로 검색해보았습니다.

검색결과, 7개의 ETF가 조회되었습니다.

원자력 ETF 리스트
원자력 ETF 리스트(2025.08.25)(출처: ETF CHECK)

 

 

가장 먼저, 각 ETF별 기초지수의 개념, 특징, 종목을 구성하는 프로세스 및 구성종목을 살펴보겠습니다.

 

1. DeepSearch 원자력 테마 지수 (ACE 원자력테마딥서치)

○ 개념: 국내 상장종목 중 원자력 테마와의 키워드 연관도를 정량화하여 구성하는 지수

특징: ① 테마 순수성보다 연관성 중시: 원자력 직접 관련뿐만 아니라 간접 관련 기업까지 포괄, 

             ② 20개 내외 종목으로 분산투자 효과 추구

             ③ 균등가중방식 적용으로 특정 종목 쏠림 방지

○ 종목 선별 프로세스

    1단계: 유니버스 설정

        - 유가증권시장 + 코스닥시장 전 종목 대상

    2단계: 기본 필터링

        - 관리종목, 정리매매종목, 우선주 제외

        - 최소 유동성 조건 충족 종목만 선별

    3단계: 테마 연관도 스코어링

        - 원자력발전, 원자로, 핵연료, 우라늄, 방사능 등 핵심 키워드 분석

        - 사업보고서, 공시자료에서 키워드 빈도 및 중요도 계산

        - 정량적 스코어링 시스템으로 연관도 수치화

    4단계: 최종 종목 선정

        - 스코어 상위 20개 내외 종목 선정

        - 균등가중방식 적용하여 지수 산출

○ 구성종목 TOP10

ACE 원자력테마딥서치 ETF 구성종목 TOP10
ACE 원자력테마딥서치 ETF 구성종목 TOP10

 

 

2. iSelect 원자력 지수 (HANARO 원자력iSelect)

○  개념: NH투자증권의 AI 필터링 기술을 활용한 원자력 테마 지수

○  특징: ① 40개 종목 선별적 구성: 원자력, 원전, SMR 키워드 기반 스코어링

              ② 자연어처리(NLP) 기술 활용으로 테마 연관성 수치화

              ③ 유동시가총액 가중방식으로 시장 효율성 반영

○  종목 선별 프로세스

     1단계: AI 키워드 필터링

        - 원자력, 원전, 소형모듈원자로(SMR) 등 핵심 키워드 설정

        - 자연어처리(NLP) 기술로 문서 내 키워드 연관성 분석

     2단계: 스코어링 및 랭킹

        - AI 필터링 기술로 테마 순수도 점수 산출

        - 키워드 빈도와 테마 연관성 비례 가정

     3단계: 40개 종목 선별

        - 스코어 상위 40개 종목을 1차 선정

        - 유동성, 시가총액 등 정량적 기준 추가 검토

     4단계: 가중치 부여

        - 유동시가총액 가중방식으로 최종 지수 구성

○ 구성종목 TOP10

HANARO 원자력iSelect ETF 구성종목 TOP10
HANARO 원자력iSelect ETF 구성종목 TOP10

 

 

3. Solactive Global Nuclear Energy Value Chain Index (PLUS 글로벌원자력밸류체인)

○  개념: 독일 Solactive에서 산출하는 글로벌 원자력 밸류체인 포괄 지수

○  특징: ① 후방(우라늄 채굴) → 전방(원전 운영) 전 밸류체인 커버

              ② 글로벌 분산투자: 미국, 캐나다, 호주 등 주요국 원자력 기업 포함

              ③ 산업별 균형배분으로 특정 섹터 리스크 완화

○  종목 선별 프로세스

     1단계: 글로벌 유니버스 구축

        - 전 세계 원자력 관련 상장기업 대상

        - 시가총액 1억 달러 이상 기업만 포함

     2단계: 밸류체인 분류

        - 후방: 우라늄 채굴, 정제, 농축 기업

        - 중방: 원자로 설계, 부품 제조 기업

        - 전방: 원전 건설, 운영, 정비 기업

     3단계: 산업별 균형배분

        - 지역별, 산업별 과도한 집중 방지

        - 리스크 분산을 위한 포트폴리오 최적화

     4단계: 유동시가총액 가중

        - 시장 효율성을 반영한 가중치 부여

○ 구성종목 TOP10

PLUS 글로벌원자력밸류체인 ETF 구성종목 TOP10
PLUS 글로벌원자력밸류체인 ETF 구성종목 TOP10

 

 

4. iSelect Global Nuclear Power Index (RISE 글로벌원자력)

○  개념: NH투자증권의 글로벌 원자력 우량기업 선별 지수

○  특징: ① 시장 지배력과 경쟁력 중심의 정성적 평가

              ② 국내외 혼합구성: 글로벌 대장주 + 한국 원자력 대표기업

              ③ 성장성과 수익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종목 선정

○  종목 선별 프로세스

     1단계: 글로벌 스크리닝

        - 국내외 원자력 관련 기업 전수조사

        - 시가총액 1억달러 이상, 60일 평균 거래대금 30만 달러 이상 조건

     2단계: 정성적 평가

        - 산업 내 시장 지배력 평가

        - 기술 경쟁력 및 성장성 종합 검토

        - ESG 요소 등 지속가능성 고려

     3단계: 국내외 균형 구성

        - 글로벌 대장주 + 한국 대표기업 조합

        - 지역별 다양성 확보

     4단계: 유동시가총액 가중

        - 시장 규모에 비례한 가중치 적용

○ 구성종목 TOP10

RISE 글로벌원자력 ETF 구성종목 TOP10
RISE 글로벌원자력 ETF 구성종목 TOP10

 

 

5. KEDI U.S. Nuclear Power SMR Index (SOL 미국원자력SMR)

○  개념: 한국경제신문이 개발한 미국 SMR 특화 지수

○  특징: ① 차세대 원자력 기술 집중: SMR, 4세대 원자로 등 혁신기술 기업

              ② 18개 종목 집중투자로 테마 순도 극대화

              ③ 미국 원자력 르네상스 정책 수혜 기업 우선 선별

○  종목 선별 프로세스 

     1단계: 미국 원자력 기업 스크리닝

        - 미국 상장 원자력 관련 기업 대상

        - SMR, 4세대 원자로 등 차세대 기술 보유 기업 우선

     2단계: 차세대 기술 키워드 스코어링

        - 소형모듈원자로(SMR), 고온가스로, 용융염원자로 등 혁신기술

        - 특허, R&D 투자, 정부 지원사업 참여 등 기술력 지표 종합

     3단계: 18개 종목 집중 선정

        - 차세대 원자력 기술 순수 플레이 기업

        - 테마 집중도 극대화 전략

     4단계: 가중치 조정

        - 기술력, 시장성, 정책 수혜도 종합 가중치 적용

○ 구성종목 TOP10

SOL 미국원자력SMR ETF 구성종목 TOP10
SOL 미국원자력SMR ETF 구성종목 TOP10

 

 

6. FnGuide 한국원자력SMR 지수 (SOL 한국원자력SMR)

○  개념: FnGuide의 한국 원자력 순수 플레이 지수

○  특징: ① 원자력 순도 100% 전략: SMR·대형원자력·원자력부품만 구성

              ② 12개 종목 초집중: 두산에너빌리티, 현대건설 등 대장주 집중

              ③ 공기업 비중 제한(10%): 한국전력, 한전KPS 등 공기업 비중 통제

○  종목 선별 프로세스

     1단계: 섹터 조건 설정

        - FICS 소분류: 기계, 건설, 에너지시설, 전력, 복합산업, 상업서비스 섹터

     2단계: 기초 조건 필터링

        - 유동비율 10% 이상

        - 시가총액 3,000억 이상

        - 60 영업일 평균 거래대금 10억 원 이상

     3단계: 문서 및 키워드 조건

        - 원자력, 원자로, 가압기, 냉각재펌프, 증기발생기, NSSS, SMR 등

        - 2차 계통: 터빈, 발전기, 복수기, 급수가열기 등

        - 3차 계통: 냉각탑, 취수설비, 순환수 등 키워드 기반 선별[3]

     4단계: 12개 종목 최종 구성

        - 원자력 순도 100% 달성을 위한 엄격한 선별

        - 공기업 비중 제한(10%)으로 민간기업 중심 구성

○ 구성종목 TOP10

SOL 한국원자력SMR ETF 구성종목 TOP10
SOL 한국원자력SMR ETF 구성종목 TOP10

 

 

7. iSelect 코리아 원자력 지수 (TIGER 코리아원자력)

○  개념: NH투자증권의 K-원전 수출 집중 지수

○  특징: ① NLP 모형 기반 문서별 중요도 차별화

              ② Pure 원자력 종목: K-원전 수출 대장주 TOP2 + 팀코리아 관련주

              ③ 유동시가총액 가중(상한 25%): 집중도와 분산의 균형 추구

○  종목 선별 프로세스

     1단계: 국내 상장기업 유니버스

        - 관리종목, 정리매매종목, 우선주, REITs, SPAC 등 제외

     2단계: NLP 키워드 필터

        - 원자력 대표 키워드: 원전, APR1400, 핵융합

        - 원자로 관련: 원자로, 가압기, 증기발생기

        - 핵분열, 우라늄 등 핵심 기술 키워드

     3단계: 자연어처리 모형 적용

        - 문서별 중요도 차별화: 사업보고서 > 공시 > 뉴스기사

        - NLP 모형으로 키워드 점수화 및 테마 연관성 수치화

     4단계: 스코어 기반 종목 선정

        - 상위 30개 종목에서 최종 10-20 종목 선별

        - 유동시가총액 가중(상한 25%)으로 지수 산출

○ 구성종목 TOP10

TIGER 코리아원자력 ETF 구성종목 TOP10
TIGER 코리아원자력 ETF 구성종목 TOP10

 

 

 

ETF는 기초지수의 특징과 종목을 선별하는 프로세스가 투자자의 성향과 맞는지가 중요합니다.

위의 7개 ETF 중에서, 성향이 비슷한 ETF에 투자해 보시길 추천드립니다.

 

 

2025년 8월 14일 자 신문에서, “K뷰티 ETF, 다시 오름세… 실적 향상에 꾸준한 수출이 상승 견인” 제목의 기사를 보았습니다.(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81376791)

 

K뷰티 ETF, 다시 오름세 실적 향상에 꾸준한 수출이 상승 견인
K뷰티 ETF, 다시 오름세 실적 향상에 꾸준한 수출이 상승 견인

 

기사의 내용을 간략히 요약해 보겠습니다.

[전체 요약]

K뷰티 ETF들이 주요 종목들의 실적 개선과 지속적인 수출 증가를 바탕으로 재반등하고 있다. 특히 에이피알과 달바글로벌의 역대 최대 실적이 ETF 상승을 견인하고 있으며, 해외 진출 확대와 외국인 투자 증가가 추가적인 상승 동력이 되고 있다.

 

[K뷰티 ETF 반등 현황]

○ 7월 조정 후 8월 들어 K뷰티 관련 ETF들이 다시 강세를 보이고 있음

○ 최근 한 달간(7월 7일~8월 7일) 수익률: TIGER 화장품 8.9%, HANARO K-뷰티 9.15%, SOL 화장품TOP3플러스 7.4% 상승

 

[개별 종목 실적 호조]

○ 에이피알: 2분기 역대 최대 실적 달성, 매출 3,277억 원(전년 동기 대비 111% 증가), 영업이익 846억 원(202% 증가)

○ 달바글로벌: 잠정 매출 1,284억 원(73.8% 증가), 영업이익 292억 원(66% 증가)

○ 에이피알: 한 달 주가 상승률은 40%를 상회

 

[수출 동향 및 전망]

○ K뷰티 수출이 꾸준히 증가세를 보이고 있으며, 7월 잠정 수출액은 9억 3,516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7.09% 증가,

   월평균 증가율이 20%를 넘는 달도 많아 지속적인 성장세를 확인

 

[긍정적 요인들]

① 미국 주요 유통업체(얼타뷰티, 세포라 등)에 입점한 K뷰티 브랜드가 작년 대비 두 배 이상 증가

② 프랑스, 영국 등 유럽 체인점으로도 입점 확대 추세

③ 외국인 지분율 상승: 에이피알 14.04%→23.04%, 한국콜마 34.71%→41.63%, 코스맥스 31.8%→36.56%로 증가하여 주가 하방 지지 역할

 

 

그래서, 한번 찾아보았습니다.

K뷰티와 관련된 ETF는 무엇이 있고, 어느 ETF가 투자하기에 가장 좋은 ETF인지 알아보겠습니다.

 

1단계: 정성적 비교 분석

 

TIGER 화장품 (종목코드: 228790)

① 기초지수(WISE 화장품 지수)의 개념 및 특징

WISE 화장품 지수를 추종하며, 화장품 산업 또는 화장품 산업과 연관되는 사업을 영위하는 기업들을 종합적으로 포괄하는 대표 지수입니다. 2011년부터 장기간 검증된 안정적인 지수 체계를 갖추고 있습니다.

유가증권시장 및 코스닥시장 상장 종목 중 화장품 관련 사업을 영위하는 기업을 지수구성 심의위원회의 심의를 통해 선정하며, 시가총액 비중방식으로 지수를 산출합니다. 분기별 정기변경을 통해 시장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합니다.

 

② 적합한 투자자 유형: 중위험·중수익을 추구하는 투자자

10년간의 운용 경험과 17개 종목 분산투자로 안정성을 확보했으며, 2,788억 원의 대규모 순자산으로 유동성이 우수합니다. 연 0.25%의 배당수익률로 안정적인 현금흐름도 제공합니다.

 

TIGER 화장품 주가 차트(상장이후)

 

HANARO K-뷰티 (종목코드: 479850)

① 기초지수(FnGuide K-뷰티)의 개념 및 특징

FnGuide K-뷰티 지수를 추종하며, 단순한 화장품을 넘어 필러, 보톡스 등 미용의료 분야까지 포괄하는 확장된 K-뷰티 개념을 적용한 혁신적 지수입니다. 시가총액 2,000억 원 이상, 평균 거래대금 10억 원 이상인 기업 중에서 화장품, 피부미용, 보톡스, 필러 관련 핵심 키워드 점수가 높은 상위 20개 종목을 유동시가총액 가중방식으로 구성합니다. K-뷰티 산업의 밸류체인 전반을 포괄하는 종합적 접근법입니다.

 

② 적합한 투자자 유형: 중위험·중수익을 추구하는 투자자 

화장품과 미용의료 테마 결합으로 리스크를 분산시켰으며, 20개 종목 분산투자와 대형주 중심 구성으로 상대적 안정성을 확보했습니다. 상장 1년 여가 경과하여 어느 정도 안정성이 검증되었습니다.

 

HANARO K-뷰티 주가 차트(상장이후)

 

 

SOL 화장품TOP3플러스 (종목코드: 0008T0)

① 기초지수(FnGuide 화장품 TOP3 플러스 지수)의 개념 및 특징

FnGuide 화장품TOP3플러스지수(PR)를 추종하며, 화장품 산업의 분업화에 따른 유통, 브랜드, ODM 분야별 대표 종목을 선정하는 혁신적 접근법을 채택했습니다. 이는 기존의 시가총액 중심 지수와 차별화된 전략적 구성입니다.

화장품 키워드 합산 스코어 상위 50 종목 중에서 유통, 브랜드, ODM 분야별 시가총액 1위 'TOP3 종목'을 각 20%씩 편입(총 60%)하고, 나머지 시가총액 상위 7 종목을 '플러스 종목'으로 구성(40%)하는 독특한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② 적합한 투자자 유형: 고위험·고수익을 추구하는 투자자

상장 기간이 짧고(206일) TOP3 종목에 60% 집중투자하는 구조로 변동성이 높지만, 신규 ETF로서 유동성 리스크는 있으나 수익 잠재력이 큽니다.

 

SOL 화장품TOP3플러스 주가차트(상장이후)
SOL 화장품TOP3플러스 주가차트(상장이후)

 

2단계: 정량적 비교 분석

 

종합 점수 및 순위

1위 : TIGER 화장품 (6.369점)

2위 : HANARO K-뷰티 (3.164점)

3위 : SOL 화장품TOP3플러스 (2.412점)

 

세부 항목별 분석

 

1. 상장일 비교 분석

TIGER 화장품: 1.000점 (2015년 10월 7일 상장, 3,600일)

HANARO K-뷰티: 0.135점 (2024년 4월 16일 상장, 486일)

SOL 화장품TOP3플러스: 0.057점 (2025년 1월 21일 상장, 206일)

▶ TIGER 화장품이 10년간의 검증된 운용 경험으로 압도적 우위를 보였습니다.

 

2. 순자산 비교 분석

TIGER 화장품: 1.000점 (2,788억 원)

SOL 화장품TOP3플러스: 0.297점 (827억 원)

HANARO K-뷰티: 0.141점 (394억 원)

▶ TIGER 화장품의 순자산이 다른 ETF 대비 압도적으로 크며, 이는 유동성과 안정성 측면에서 큰 장점입니다.

 

3. 수수료율 비교 분석

SOL 화장품TOP3플러스: 1.000점 (0.4971%)

HANARO K-뷰티: 0.909점 (0.5471%)

TIGER 화장품: 0.768점 (0.6470%)

▶ SOL 화장품TOP3플러스가 최저 수수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는 최근에 상장된 ETF들이 수수료율을 낮추는 경향을 잘 보여줍니다. 반변, 가장 먼저 상장된 TIGER 화장품은 3개 중에 가장 높은 수준입니다.

 

4. 거래량(60일 평균) 비교 분석

TIGER 화장품: 1.000점 (6,504,484주)

SOL 화장품TOP3플러스: 0.086점 (557,200주)

HANARO K-뷰티: 0.027점 (177,401주)

▶ TIGER 화장품의 거래량이 압도적으로 높아 매매 시 유동성이 가장 좋습니다.

 

5. 거래대금(60일 평균) 비교 분석

TIGER 화장품: 1.000점 (260억 원)

SOL 화장품TOP3플러스: 0.327점 (85억 원)

HANARO K-뷰티: 0.112점 (29억 원)

▶ 거래대금 측면에서도 TIGER 화장품이 가장 활발한 거래를 보이고 있습니다.

 

6. 배당수익률 비교 분석

TIGER 화장품: 1.000점 (0.25%)

HANARO K-뷰티: 0.840점 (0.21%)

SOL 화장품TOP3플러스: 0.000점 (0%)

▶ TIGER 화장품이 3개 중에 가장 배당수익률이 좋습니다.

 

7. 수익률 정규화 점수

5개 기간별 수익률(3개월, 6개월, 연초 이후, 1년, 상장 이후)의 정규화 결과:

HANARO K-뷰티: 1.000점

SOL 화장품TOP3플러스: 0.645점

TIGER 화장품: 0.600점

▶ 수익률(3M, 6M, YTD, 12M, MAX) 측면에서는 HANARO K-뷰티가 가장 우수한 성과를 보였습니다.

 

각각의 항목별 종합 점수로 보았을 때, 최우수 ETF는 TIGER 화장품입니다.

 

TIGER 화장품, HANARO K-뷰티, SOL 화장품TOP3플러스 방사형 차트
TIGER 화장품, HANARO K-뷰티, SOL 화장품TOP3플러스 방사형 차트

 

TIGER 화장품, HANARO K-뷰티, SOL 화장품TOP3플러스 구성종목
TIGER 화장품, HANARO K-뷰티, SOL 화장품TOP3플러스 구성종목

 

 

CONTENTS

최근 주요 이슈

1단계 정성적 비교

2단계 정량적 비교

ETF 투자 전략

 

 

 

바이오 ETF 투자리포트

 

한국의 고령화 사회 진입과 글로벌 바이오 의료기술 혁신이 맞물리면서, 바이오산업은 2025년 최대 관심 분야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 GLP-1 기반 비만치료제 시장의 폭발적 성장, ADC(항체약물접합체) 기술 혁신, CDMO(위탁개발생산) 산업 확대와 함께 금리 인하 기대감까지 더해지면서 바이오 ETF에 대한 투자 열기가 뜨거워지고 있습니다.

최근 바이오 산업의 이슈는 무엇이 있지 살펴보겠습니다.

 

최근 바이오 산업 이슈

 

1. GLP-1 비만치료제 시장 급성장

2025년 글로벌 비만치료제 시장은 골드만삭스 전망에 따르면 연평균 50% 성장하여 2030년 130조 원 규모에 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노보노디스크의 위고비와 일라이릴리의 젭바운드가 시장을 주도하며, 이들의 2025년 1분기 매출은 각각 전년 대비 24%, 26% 증가했습니다.

 

2. ADC(항체약물접합체) 기술 혁신

ADC 시장은 2023년 97억 달러에서 2028년 약 300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전망입니다. 특히 다이이찌 산쿄와 아스트라제네카의 엔허투가 2023년 약 3조 5천억 원 매출을 기록하며, 차세대 정밀의료의 핵심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3. CDMO 산업 본격 확대

글로벌 바이오의약품 CDMO 시장은 2023년 196.8억 달러에서 2029년 438.5억 달러로 연평균 14.3% 성장이 예상됩니다. 삼성바이오로직스의 5공장 가동 개시와 셀트리온의 CDMO 사업 진출 등 국내 기업들의 글로벌 시장 점유율 확대가 기대됩니다.

 

4. 미국 트럼프 행정부 의약품 관세

우리나라는 그간 한미 FTA, EU·스위스 등과 함께 의약품 교역이 무관세로 이뤄져 왔지만, 최근 미 행정부가 15%~최대 250%의 관세 부과 방침을 예고하며, 직접 수출 기업의 가격 경쟁력 약화와 비용 부담이 불가피해졌습니다. 이에, 아직 관세 품목·시기·수준이 확정되지 않아 전문가들조차 의견이 엇갈리며, 단기적으로는 바이오 섹터, 특히 미국 매출 비중이 높은 종목 중심으로 단기 변동성 확대가 불가피하다는 분석입니다.

 

위의 사항들을 염두해두고, ‘바이오’ 관련 ETF들을 조사해 보겠습니다.

 

바이오산업 ETF 리스트
바이오산업 ETF 리스트

 

 

[정성적 비교 분석]

 

 

1. TIGER 바이오TOP10 (364970)

① 기초지수 개념

KRX 바이오 TOP10 지수를 추종하며,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 상장 바이오산업군 내 대표기업 10 종목으로 구성됩니다. 시가총액 상위 3개 종목에 각각 25%(총 75%)를 배정하고, 나머지 7개 종목에 25%를 배정하는 구조입니다.

 

② 기초지수 특징

· 시가총액 집중: 상위 3개 종목(셀트리온, 알테오젠, 삼성바이오로직스)이 전체의 75%를 차지

· 동일가중 방식: 상위 3개 종목은 각 25%씩 동일 비중 적용

· 정기변경: 연 2회(3월, 9월) 리밸런싱 실시

· 대형주 중심: 바이오 업계 대표 기업들로 구성

 

③ 구성종목 비율

알테오젠 25.58%, 삼성바이오로직스 24.183%, 셀트리온 24.14%, 유한양행 6.41%, HLB 4.91%, 리가켐바이오 3.65%, SK바이오팜 2.59%, 한미약품 2.03%, 휴젤 1.93%, SK바이오사이언스 1.12%

 

④ 적합한 투자자 유형: 중위험·중수익을 추구하는 투자자

대형주 중심의 안정적 포트폴리오이지만 상위 3개 종목 집중도가 높아 개별 종목 리스크가 존재합니다.

 

2. KODEX 바이오 (244580)

① 기초지수 개념

FnGuide 바이오지수를 추종하며, 국내 상장 기업 중 바이오 사업을 영위하는 기업들로 구성됩니다. 시가총액과 거래대금 조건을 감안하여 투자 대상 기업을 선별합니다.

 

② 기초지수 특징

· 동일가중방식: 모든 구성종목에 균등 비중 배분

· 광범위한 분산투자: 특정 종목 집중도를 낮춤

· 정기변경: 분기별 리밸런싱 실시

· 안정성 중심: 검증된 바이오 기업들로 구성

 

③ 구성종목 비율

동일가중방식으로 운용되어 특정 종목의 집중도가 낮습니다.

펩트론 3.18%, 디앤디파마텍 2.73%, 오름테라퓨틱 2.55%, 리가켐바이오 2.51%, 원텍 2.34%, 큐리옥스바이오시스템즈 2.33%, 보로노이 2.32%, 비올 2.28%, 파미셀 2.27%, 파마리서치 2.27%, 올릭스 2.24% 등

 

④ 적합한 투자자 유형: 중위험·중수익을 추구하는 투자자

동일가중방식으로 인한 분산효과와 안정적인 운용이 특징입니다.

 

3. KoAct 바이오헬스케어액티브 (462900)

① 기초지수 개념

iSelect 바이오헬스케어 PR 지수를 비교지수로 하되, 액티브 운용을 통해 초과성과를 추구합니다. 바이오헬스케어 산업의 성장과 함께 고성장 가능한 기업들의 성과를 추종합니다.

 

② 기초지수 특징

· 액티브 운용: 펀드매니저의 판단에 의한 선별적 투자

· 비중 조절: 개별 종목 비중을 능동적으로 관리

· 섹터 분산: 바이오텍, CDMO, 미용의료기기 등 다양한 분야 투자

· 전문성: 바이오 전문 운용팀의 적극적 관리

 

③ 구성종목 비율

리가켐바이오 9.18%, 에이비엘바이오 8.72%, 알테오젠 8.39%, 삼성바이오로직스 8.20%, 파마리서치 7.44%, 휴젤 6.50%

기타 약 35개 종목으로 구성됩니다.

 

④ 적합한 투자자 유형: 고위험·고수익을 추구하는 투자자

액티브 운용의 특성상 높은 수익 가능성과 함께 운용 리스크가 존재합니다.

 

4. TIMEFOLIO K바이오액티브 (463050)

① 기초지수 개념

KRX 헬스케어 지수를 비교지수로 하여 비교지수 대비 초과성과를 목표로 운용됩니다. 신약/바이오베터, 의료기기, 디지털 헬스케어 등 국내 바이오 핵심기업에 투자합니다.

 

② 기초지수 특징

· 테마 중심: 신약, 의료기기, 디지털 헬스케어에 특화

· 성장성 중심: 차세대 바이오 리더 발굴에 집중

· 액티브 운용: 기술력과 성장성을 보유한 기업 선별

· 트렌드 대응: 빠르게 진화하는 바이오 헬스케어 트렌드 반영

 

③ 구성종목 비율

약 26개 종목으로 구성되며, 확신이 가는 소수 종목에 집중 투자하는 전략을 취합니다.

 

④ 적합한 투자자 유형: 고위험·고수익을 추구하는 투자자

혁신적 바이오 기업 발굴을 통한 높은 성장성을 추구하나 변동성이 큽니다.

 

5. TIGER 코스닥150바이오테크 (261070)

① 기초지수 개념

코스닥150 헬스케어 지수를 추종하며, 코스닥150 구성종목 중 GICS 분류 생명기술에 속하는 종목들로 구성됩니다.

 

② 기초지수 특징

· 중소형 바이오테크: 코스닥 상장 생명기술 기업 중심

· 유동시가총액 가중: 거래량을 고려한 가중방식

· 편입비중 제한: 개별 종목 최대 20%로 제한

· 성장성 중심: 혁신적 바이오테크 기업들 포함

 

③ 구성종목 비율

코스닥150 중 생명기술 분야 기업들로 구성되며, 개별 종목 비중은 20% 이하로 제한됩니다.

 

④ 적합한 투자자 유형: 고위험·고수익을 추구하는 투자자

중소형 바이오테크 기업의 높은 성장성과 변동성을 감안해야 합니다.

 

6. TIGER 차이나바이오테크SOLACTIVE (371470)

① 기초지수 개념

Solactive China Biotech Index를 추종하며, 중국 헬스케어 산업 내 생명공학 테마 기업들로 구성됩니다. 중국, 홍콩, 미국 거래소 상장 중국 바이오 기업 최대 30 종목을 편입합니다.

 

② 기초지수 특징

· 중국 특화: 중국 바이오테크 시장에 집중 투자

· 글로벌 상장: 중국, 홍콩, 미국 거래소 상장 기업 포함

· 환율 노출: 위안화 환율 변동 위험 존재

· 정기변경: 연 2회(1월, 7월) 리밸런싱

 

③ 구성종목 비율

BeOne Medicines Ltd 8.1%, WuXi AppTec Co Ltd 7.84%, Innovent Biologics Inc 7.7%, Wuxi Biologics Cayman Inc 7.54%, Jiangsu Hengrui Pharmaceuticals Co Ltd 7.1%

기타 25개 종목으로 구성됩니다.

 

④ 적합한 투자자 유형: 고위험·고수익을 추구하는 투자자

중국 시장 리스크와 환율 변동성을 감내할 수 있는 투자자에게 적합합니다.

 

7. KODEX 미국S&P바이오(합성) (185680)

① 기초지수 개념

S&P Select Biopharmaceutical Index를 추종하며, 미국 바이오제약 분야 주요 기업들로 구성됩니다. 합성 ETF 방식으로 운용됩니다.

 

② 기초지수 특징

· 광범위한 분산: 약 140개 종목 포함

· 합성 방식: 스왑 계약을 통한 지수 수익률 추종

· 거래상대방 리스크: 스왑 상대방의 신용위험 존재

· 달러 노출: 달러 환율 변동 영향

 

③ 구성종목 비율

S&P 바이오제약 지수 구성종목을 합성 방식으로 추종하여 광범위한 분산투자를 실현합니다.

 

④ 적합한 투자자 유형: 중위험·중수익을 추구하는 투자자

미국 바이오제약 시장 전반에 분산투자하므로 상대적으로 안정적입니다.

 

8. TIGER 미국나스닥바이오 (203780)

① 기초지수 개념

NASDAQ Biotechnology Index를 추종하며, 미국 나스닥 상장 바이오테크놀로지와 제약 기업들로 구성됩니다. 약 220개 종목으로 구성된 광범위한 포트폴리오를 제공합니다.

 

② 기초지수 특징

나스닥 특화: 나스닥 상장 바이오테크 기업 중심

수정시가총액 가중: 상위 5개 종목 최대 8%, 나머지 최대 4% 제한

분기별 리밸런싱: 3, 6, 9, 12월 정기변경

엄격한 편입조건: 시가총액 2억 불 이상, 일평균 거래량 10만 주 이상

 

③ 구성종목 비율

Gilead Sciences Inc 7.34%, Amgen Inc 7.24%, Vertex Pharmaceuticals Inc 6.39%, Regeneron Pharmaceuticals Inc 6.19%, Alnylam Pharmaceuticals Inc 5.15%, 기타 약 215개 종목으로 구성됩니다.

 

④ 적합한 투자자 유형: 중위험·중수익을 추구하는 투자자

광범위한 분산투자로 개별 기업 리스크를 완화합니다.

 

9. KIWOOM 미국블록버스터바이오테크의약품+ (483030)

① 기초지수 개념

Solactive Blockbuster Biotech Drugs Index를 추종하며, 연매출 10억 달러 이상의 블록버스터 의약품을 보유한 미국 기업들로 구성됩니다. 현재 블록버스터 의약품 보유 기업(95%)과 향후 5년 내 보유 예상 기업(5%)에 투자합니다.

 

② 기초지수 특징

· 검증된 수익성: 이미 시장에서 성공한 의약품 보유 기업

· 집중 투자: 28개 종목으로 구성, 개별 종목 최대 10%

· 현재와 미래 결합: 95% 현재 보유, 5% 미래 유망 기업

· 바텀업 접근: 개별 기업의 제품과 기술력 중심 선별

 

③ 구성종목 비율

머크, 노보노디스크, 일라이릴리, 존슨 앤 존슨, 아스트라제네카, 화이자, 애브비 등 글로벌 제약 대기업들이 상위 비중을 차지합니다.

 

④ 적합한 투자자 유형: 중위험·중수익을 추구하는 투자자

이미 수익성이 검증된 기업들로 구성되어 상대적으로 안정적입니다.

 

10. HANARO 바이오코리아액티브 (498050)

① 기초지수 개념

iSelect K-바이오헬스케어 지수를 비교지수로 하여 비교지수 대비 초과성과를 추구하는 액티브 ETF입니다.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한국의 바이오 및 헬스케어 종목에 투자합니다.

 

② 기초지수 특징

· K-바이오 집중: 국내 바이오헬스케어 기업 특화

· 액티브 운용: NH-Amundi의 전문적 운용

· 상승기 진입: 바이오산업 상승기 진입 시점 포착

· 글로벌 경쟁력: CDMO, 바이오시밀러 등 경쟁력 보유 기업 중심

 

③ 구성종목 비율

삼성바이오로직스, 셀트리온, 알테오젠 등 CDMO와 바이오시밀러 분야 글로벌 경쟁력 보유 기업들로 구성됩니다.

 

④ 적합한 투자자 유형: 중위험·중수익을 추구하는 투자자

K-바이오의 글로벌 경쟁력을 바탕으로 한 성장성과 안정성을 동시에 추구합니다.

 

11. RISE 바이오TOP10액티브 (0000Z0)

① 기초지수 개념

KRX 바이오 TOP 10 지수를 비교지수로 하는 액티브 ETF로, 국내 제약/바이오 핵심 기업 10 종목에 투자합니다. 적극적인 신약 개발과 CDMO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춘 기업들로 구성됩니다.

 

② 기초지수 특징

· 선별적 투자: 글로벌 경쟁력 보유 기업 중심 선별

· 거시환경 대응: 기술발전, 규제변화, 인허가 등에 민감하게 대응

· 액티브 운용: KB자산운용의 전문적 관리

· 집중투자: 10종목 집중으로 개별 기업 성과에 민감

 

③ 구성종목 비율

셀트리온 21.52%, 알테오젠 19.40%, 보로노이 3.86%, 파마리서치 3.84%, 에이비엘바이오 3.50%

기타 5개 종목으로 구성됩니다.

 

④ 적합한 투자자 유형: 고위험·고수익을 추구하는 투자자

10종목 집중투자로 높은 성장성과 변동성을 동시에 갖습니다.

 

12. 마이티 바이오시밀러&CDMO액티브 (0001P0)

① 기초지수 개념

FnGuide 바이오시밀러 & CDMO 지수를 비교지수로 하며, 바이오시밀러 및 CDMO 산업과 관련성이 높은 국내 기업에 투자하는 액티브 상품입니다. 총 20개 종목으로 구성됩니다.

 

② 기초지수 특징

· 특화 분야: 바이오시밀러와 CDMO 분야 특화

· 성장 동력: 글로벌 바이오의약품 CDMO 시장 성장 수혜

· 집중 투자: 20개 종목으로 구성된 집중형 포트폴리오

· 액티브 운용: DB자산운용의 전문 관리

 

③ 구성종목 비율

바이오시밀러 및 CDMO 사업을 영위하는 20개 국내 기업으로 구성되며, 셀트리온, 삼성바이오로직스 등이 주요 구성종목입니다.

 

④ 적합한 투자자 유형: 고위험·고수익을 추구하는 투자자

특정 산업 집중투자로 높은 성장성과 함께 섹터 리스크가 존재합니다.

 

13. TIMEFOLIO 글로벌안티에이징바이오액티브 (485810)

① 기초지수 개념

KEDI 글로벌불로장생바이오지수를 비교지수로 하며, 글로벌 안티에이징과 고령화 관련 바이오 기업에 투자하는 액티브 ETF입니다. 비만, 치매, 미용 등 고령화 산업에 특화됩니다.

 

② 기초지수 특징

· 테마 특화: 안티에이징, 비만, 치매 치료 분야 집중

· 글로벌 투자: 전 세계 관련 기업에 분산투자

· 트렌드 대응: 고령화 사회 트렌드에 특화된 투자

· 환율 노출: 해외 투자로 인한 환율 변동 위험

 

③ 구성종목 비율

ELI LILLY 15.54%, ABBOTT LABORATORIES 6.30%, NATERA 6.30%, ABBVIE 6.27%, JOHNSON & JOHNSON 4.88%

헬스케어 분야가 90.20%를 차지합니다.

 

④ 적합한 투자자 유형: 고위험·고수익을 추구하는 투자자

글로벌 테마 투자의 특성상 높은 성장성과 함께 환율 및 테마 리스크가 존재합니다.

 

 

[정량적 비교 분석]

 

총 13개의 바이오 관련 ETF의 각각의 항목(상장일, 순자산, 수수료율, 거래량(60일 평균), 거래대금(60일 평균), 배당수익률, 수익률(최근 3개월, 6개월, 연초 이후, 1년, 상장 이후) 등으로 상대점수화 합니다.

MAX값 또는 MIN값을 1점으로 하여 상대점수화합니다. 이후 각각의 항목들의 상대점수를 모두 합산합니다.

 

1. TIGER 바이오TOP10

① 상장일 : 2020-10-07 , 상대점수 : 0.41점(5위)

② 순자산 : 1,728억 원 , 상대점수 : 0.924점(2위)

③ 수수료율 : 0.5192% , 상대점수 : 0.663점(3위)

④ 거래량(60일 평균) : 1,300,385주 , 상대점수 : 1.000점(1위)

⑤ 거래대금(60일 평균) : 100억 원 , 상대점수 : 1.000점(1위)

⑥ 수익률(최근 3개월) : 8.10% , 상대점수 : 0.219점(10위)

수익률(최근 6개월) : -4.91% , 상대점수 : -0.104점(8위)

수익률(연초 이후) : 7.22% , 상대점수 : 0.155점(8위)

수익률(최근 1년) : 10.16% , 상대점수 : 0.155점(8위)

수익률(상장 이후) : -23.05% , 상대점수 : -0.140점(13위)

수익률 정규화 : 0.073점(10위)

⑦ 배당수익률 : 0.13% , 상대점수 : 0.051점(4위)

⑧ 총점수 : 4.122점(1위)

 

TIGER 바이오TOP10 주가 차트
TIGER 바이오TOP10 주가 차트

 

 

TIGER 바이오TOP10 방사형 차트

 

2. KODEX 바이오

① 상장일 : 2016-05-13 , 상대점수 : 0.78점(3위)

② 순자산 : 1,544억 원 , 상대점수 : 0.826점(3위)

③ 수수료율 : 0.6448% , 상대점수 : 0.534점(6위)

④ 거래량(60일 평균) : 623,296주 , 상대점수 : 0.479점(2위)

⑤ 거래대금(60일 평균) : 57억 원 , 상대점수 : 0.570점(2위)

⑥ 수익률(최근 3개월) : 10.45% , 상대점수 : 0.283점(7위)

수익률(최근 6개월) : 13.66% , 상대점수 : 0.290점(3위)

수익률(연초 이후) : 20.48% , 상대점수 : 0.440점(4위)

수익률(최근 1년) : 10.86% , 상대점수 : 0.165점(7위)

수익률(상장 이후) : -8.28% , 상대점수 : -0.050점(9위)

수익률 정규화 : 0.288점(7위)

⑦ 배당수익률 : 0.16% , 상대점수 : 0.063점(3위)

⑧ 총점수 : 3.545점(2위)

 

KODEX 바이오 주가 차트
KODEX 바이오 주가 차트

 

KODEX 바이오 방사형 차트
KODEX 바이오 방사형 차트

 

3. KoAct 바이오헬스케어액티브

① 상장일 : 2023-08-03 , 상대점수 : 0.17점(7위)

② 순자산 : 1,870억 원 , 상대점수 : 1.000점(1위)

③ 수수료율 : 0.7902% , 상대점수 : 0.436점(9위)

④ 거래량(60일 평균) : 491,837주 , 상대점수 : 0.378점(4위)

⑤ 거래대금(60일 평균) : 76억 원 , 상대점수 : 0.760점(3위)

⑥ 수익률(최근 3개월) : 14.44% , 상대점수 : 0.391점(4위)

수익률(최근 6개월) : 11.96% , 상대점수 : 0.254점(4위)

수익률(연초 이후) : 23.60% , 상대점수 : 0.507점(3위)

수익률(최근 1년) : 26.26% , 상대점수 : 0.400점(4위)

수익률(상장 이후) : 55.72% , 상대점수 : 0.340점(4위)

수익률 정규화 : 0.483점(3위)

⑦ 배당수익률 : 0% , 상대점수 : 0.000점

⑧ 총점수 : 3.228점(3위)

 

KoAct 바이오헬스케어액티브 주가 차트
KoAct 바이오헬스케어액티브 주가 차트

 

KoAct 바이오헬스케어액티브 방사형 차트
KoAct 바이오헬스케어액티브 방사형 차트

 

4. TIMEFOLIO K바이오액티브

① 상장일 : 2023-08-17 , 상대점수 : 0.17점(공동 7위)

② 순자산 : 1,304억 원 , 상대점수 : 0.697점(4위)

③ 수수료율 : 0.9377% , 상대점수 : 0.367점(공동 12위)

④ 거래량(60일 평균) : 608,966주 , 상대점수 : 0.468점(3위)

⑤ 거래대금(60일 평균) : 80억 원 , 상대점수 : 0.800점(2위)

⑥ 수익률(최근 3개월) : 14.78% , 상대점수 : 0.400점(3위)

수익률(최근 6개월) : 8.50% , 상대점수 : 0.180점(5위)

수익률(연초 이후) : 18.23% , 상대점수 : 0.392점(6위)

수익률(최근 1년) : 19.84% , 상대점수 : 0.302점(5위)

수익률(상장 이후) : 37.76% , 상대점수 : 0.230점(5위)

수익률 정규화 : 0.384점(5위)

⑦ 배당수익률 : 0% , 상대점수 : 0.000점

⑧ 총점수 : 2.885점(4위)

 

TIMEFOLIO K바이오액티브 주가 차트
TIMEFOLIO K바이오액티브 주가 차트

 

TIMEFOLIO K바이오액티브 방사형 차트
TIMEFOLIO K바이오액티브 방사형 차트

 

5. TIGER 코스닥150바이오테크

① 상장일 : 2016-12-15 , 상대점수 : 0.73점(4위)

② 순자산 : 262억 원 , 상대점수 : 0.140점(7위)

③ 수수료율 : 0.4840% , 상대점수 : 0.711점(2위)

④ 거래량(60일 평균) : 68,026주 , 상대점수 : 0.052점(5위)

⑤ 거래대금(60일 평균) : 10억 원 , 상대점수 : 0.100점(5위)

⑥ 수익률(최근 3개월) : 15.83% , 상대점수 : 0.429점(2위)

수익률(최근 6개월) : 14.45% , 상대점수 : 0.306점(2위)

수익률(연초 이후) : 24.20% , 상대점수 : 0.520점(2위)

수익률(최근 1년) : 27.76% , 상대점수 : 0.423점(3위)

수익률(상장 이후) : 90.39% , 상대점수 : 0.551점(3위)

수익률 정규화 : 0.570점(2위)

⑦ 배당수익률 : 0.25% , 상대점수 : 0.099점(2위)

⑧ 총점수 : 2.407점(5위)

 

TIGER 코스닥150바이오테크 주가 차트
TIGER 코스닥150바이오테크 주가 차트

 

TIGER 코스닥150바이오테크 방사형 차트
TIGER 코스닥150바이오테크 방사형 차트

 

6. TIGER 차이나바이오테크SOLACTIVE

① 상장일 : 2020-12-08 , 상대점수 : 0.40점(6위)

② 순자산 : 513억 원 , 상대점수 : 0.274점(6위)

③ 수수료율 : 0.7260% , 상대점수 : 0.474점(7위)

④ 거래량(60일 평균) : 63,304주 , 상대점수 : 0.049점(6위)

⑤ 거래대금(60일 평균) : 5억 원 , 상대점수 : 0.050점(공동 7위)

⑥ 수익률(최근 3개월) : 36.93% , 상대점수 : 1.000점(1위)

수익률(최근 6개월) : 47.16% , 상대점수 : 1.000점(1위)

수익률(연초 이후) : 46.54% , 상대점수 : 1.000점(1위)

수익률(최근 1년) : 65.67% , 상대점수 : 1.000점(1위)

수익률(상장 이후) : -14.35% , 상대점수 : -0.087점(11위)

수익률 정규화 : 1.000점(1위)

⑦ 배당수익률 : 0% , 상대점수 : 0.000점

⑧ 총점수 : 2.243점(6위)

 

TIGER 차이나바이오테크SOLACTIVE 주가 차트
TIGER 차이나바이오테크SOLACTIVE 주가 차트

 

TIGER 차이나바이오테크SOLACTIVE 방사형 차트
TIGER 차이나바이오테크SOLACTIVE 방사형 차트

 

7. KODEX 미국S&P바이오(합성)

① 상장일 : 2013-10-31 , 상대점수 : 1.000점(1위)

② 순자산 : 144억 원, 상대점수 : 0.077점(9위)

③ 수수료율 : 0.3442% , 상대점수 : 1.000점(1위)

④ 거래량(60일 평균) : 3,895주 , 상대점수 : 0.003점(13위)

⑤ 거래대금(60일 평균) : 96,343,367원 , 상대점수 : 0.010점(10위)

⑥ 수익률(최근 3개월) : 8.28% , 상대점수 : 0.224점(9위)

수익률(최근 6개월) : -12.34% , 상대점수 : -0.262점(12위)

수익률(연초 이후) : -12.01% , 상대점수 : -0.258점(13위)

수익률(최근 1년) : -7.62% , 상대점수 : -0.116점(11위)

수익률(상장 이후) : 164.11% , 상대점수 : 1.000점(1위)

수익률 정규화 : 0.150점(9위)

⑦ 배당수익률 : 0%, 상대점수 : 0.00점

⑧ 총점수 : 2.240점(7위)

KODEX 미국S&P바이오(합성) 주가 차트
KODEX 미국S&P바이오(합성) 주가 차트

 

KODEX 미국S&P바이오(합성) 방사형 차트
KODEX 미국S&P바이오(합성) 방사형 차트

 

8. TIGER 미국나스닥바이오

① 상장일 : 2014-08-27 , 상대점수 : 0.93점(2위)

② 순자산 : 581억 원 , 상대점수 : 0.311점(5위)

③ 수수료율 : 0.7702% , 상대점수 : 0.447점(8위)

④ 거래량(60일 평균) : 25,475주 , 상대점수 : 0.020점(8위)

⑤ 거래대금(60일 평균) : 6억 원 , 상대점수 : 0.060점(6위)

⑥ 수익률(최근 3개월) : 9.16% , 상대점수 : 0.248점(8위)

수익률(최근 6개월) : -6.68% , 상대점수 : -0.142점(10위)

수익률(연초 이후) : -3.20% , 상대점수 : -0.069점(10위)

수익률(최근 1년) : -1.26% , 상대점수 : -0.019점(10위)

수익률(상장 이후) : 105.86% , 상대점수 : 0.645점(2위)

수익률 정규화 : 0.170점(8위)

⑦ 배당수익률 : 0.04% , 상대점수 : 0.016점(6위)

⑧ 총점수 : 1.953점(8위)

 

TIGER 미국나스닥바이오 주가 차트
TIGER 미국나스닥바이오 주가 차트

 

TIGER 미국나스닥바이오 방사형 차트
TIGER 미국나스닥바이오 방사형 차트

 

9. KIWOOM 미국블록버스터바이오테크의약품+

① 상장일 : 2024-05-28 , 상대점수 : 0.10점(9위)

② 순자산 : 31억 원, 상대점수 : 0.017점(13위)

③ 수수료율 : 0.8680점, 상대점수 : 0.397점(10위)

④ 거래량(60일 평균) : 8,380주 , 상대점수 : 0.006점(10위)

⑤ 거래대금(60일 평균) : 73,756,158원 , 상대점수 : 0.007점(11위)

⑥ 수익률(최근 3개월) : 0.55% , 상대점수 : 0.015점(12위)

수익률(최근 6개월) : -9.45% , 상대점수 : -0.200점(11위)

수익률(연초 이후) : -7.23% , 상대점수 : -0.155점(11위)

수익률(최근 1년) : -9.31% , 상대점수 : -0.142점(12위)

수익률(상장 이후) : -8.37% , 상대점수 : -0.051점(10위)

수익률 정규화 : -0.136점(12위)

⑦ 배당수익률 : 2.53% , 상대점수 : 1.000점(1위)

⑧ 총점수 : 1.392점(9위)

 

KIWOOM 미국블록버스터바이오테크의약품+ 주가 차트
KIWOOM 미국블록버스터바이오테크의약품+ 주가 차트

 

KIWOOM 미국블록버스터바이오테크의약품+ 방사형 차트
KIWOOM 미국블록버스터바이오테크의약품+ 방사형 차트

 

10. HANARO 바이오코리아액티브

① 상장일 : 2024-11-26 , 상대점수: 0.06점(11위)

② 순자산 : 97억 원, 상대점수: 0.052점(11위)

③ 수수료율 : 0.5763%, 상대점수: 0.597점(4위)

④ 거래량(60일 평균) : 16,144주, 상대점수 : 0.012점(9위)

⑤ 거래대금(60일 평균) : 2억 원, 상대점수 : 0.020점(9위)

⑥ 수익률(최근 3개월) : 12.51%, 상대점수 : 0.339점(6위)

수익률(최근 6개월) : 7.69%, 상대점수 : 0.163점(6위)

수익률(연초 이후) : 19.93%, 상대점수 : 0.428점(5위)

수익률(최근 1년) : 27.86%, 상대점수 : 0.424점(2위)

수익률(상장 이후) : 27.86%, 상대점수 : 0.170점(6위)

수익률 정규화 : 0.390점(4위)

⑦ 배당수익률 : 0%, 0.00점 

⑧ 총점수 : 1.130점(10위)

 

HANARO 바이오코리아액티브 주가 차트
HANARO 바이오코리아액티브 주가 차트

 

HANARO 바이오코리아액티브 방사형 차트
HANARO 바이오코리아액티브 방사형 차트

 

11. RISE 바이오TOP10액티브

① 상장일 : 2024-12-24 , 상대점수 : 0.05점(공동 12위)

② 순자산 : 148억 원, 상대점수 : 0.079점(8위)

③ 수수료율 : 0.6161%, 상대점수 : 0.559점(5위)

④ 거래량(60일 평균) : 41,782주, 상대점수 : 0.032점(7위)

⑤ 거래대금(60일 평균) : 5억 원, 상대점수 : 0.050점(공동 7위)

⑥ 수익률(최근 3개월) : 14.16%, 상대점수 : 0.383점(5위)

수익률(최근 6개월) : 7.17%, 상대점수 : 0.152점(7위)

수익률(연초 이후) : 16.01% , 0.344점(7위)

수익률(최근 1년) : 19.47% , 0.296점(6위)

수익률(상장 이후) : 19.47% , 0.119점(7위)

수익률 정규화 : 0.331점(6위)

⑦ 배당수익률 : 0%, 0.0점

⑧ 총점수 : 1.104점(11위)

 

RISE 바이오TOP10액티브 주가 차트
RISE 바이오TOP10액티브 주가 차트

 

RISE 바이오TOP10액티브 방사형 차트
RISE 바이오TOP10액티브 방사형 차트

 

12. 마이티 바이오시밀러&CDMO액티브

① 상장일 : 2024-12-24 , 0.05점(공동 12위)

② 순자산 : 121억 원, 0.065점(10위)

③ 수수료율 : 0.8859% , 0.389점(11위)

④ 거래량(60일 평균) : 6,035주 , 0.005점(11위)

⑤ 거래대금(60일 평균) : 57,431,396원 , 0.006점(12위)

⑥ 수익률(최근 3개월) : 5.18%, 0.140점(11위)

수익률(최근 6개월) : -6.02%, -0.128점(9위)

수익률(연초 이후) : -1.66%, -0.036점(9위)

수익률(최근 1년) : 0.42%, 0.006점(9위)

수익률(상장 이후) : 0.42%, 0.003점(8위)

수익률 정규화 : -0.004점(11위)

⑦ 배당수익률 : 0.1%, 0.040점(5위)

⑧ 총점수 : 0.552점(12위)

 

마이티 바이오시밀러&CDMO액티브 주가 차트
마이티 바이오시밀러&CDMO액티브 주가 차트

 

마이티 바이오시밀러&CDMO액티브 방사형 차트
마이티 바이오시밀러&CDMO액티브 방사형 차트

 

13. TIMEFOLIO 글로벌안티에이징바이오액티브

① 상장일 : 2024-07-02, 0.09점(10위)

② 순자산 : 44억 원, 0.024점(12점)

③ 수수료율 : 0.9377%, 0.367점(공동 12위)

④ 거래량(60일 평균) : 5,184주, 0.004점(12위)

⑤ 거래대금(60일 평균) : 43,002,523원, 0.004점(13위)

⑥ 수익률(최근 3개월) : -1.28%, -0.035점(13위)

수익률(최근 6개월) : -13.69%, -0.290점(13위)

수익률(연초 이후) : -11.51%, -0.247점(12위)

수익률(최근 1년) : -15.89%, -0.242점(13위)

수익률(상장 이후) : -19.26%, -0.117점(12위)

수익률 정규화 : -0.238점(13위)

⑦ 배당수익률 : 0%, 0.0점

⑧ 총점수 : 0.254점(13위)

 

TIMEFOLIO 글로벌안티에이징바이오액티브 주가 차트
TIMEFOLIO 글로벌안티에이징바이오액티브 주가 차트

 

TIMEFOLIO 글로벌안티에이징바이오액티브 방사형 차트
TIMEFOLIO 글로벌안티에이징바이오액티브 방사형 차트

 

 

이번시간에는 바이오 관련 ETF들을 조사해 보았습니다.

ETF를 어떻게 운용하는지, 구성종목들은 어떻게 되어 있는지, 확인해 보는 정성적 분석과

각 항목들을 정량적으로 비교하여 상대점수를 산출하고, 이를 합산해 보았습니다.

 

투자자 개인의 성향과 맞는 기초지수를 찾고, ETF의 점수 및 차트를 함께 보면서 최적의 ETF를 찾으시기 바랍니다.

 

투자 방법 제시

1. 분할 매수 전략 (Dollar Cost Averaging)

1단계: 전체 투자금의 30% 우선 매수

2단계: 매월 20%씩 3회 추가 매수

3단계: 나머지 10% 기회 매수용 보유

 

2. 핵심-위성 전략 (Core-Satellite Strategy)

핵심(70%): TIGER 미국나스닥바이오 - 안정적 기반 수익 확보

위성(30%): TIMEFOLIO K바이오액티브 (20%) - 국내 바이오 고성장 포착

TIGER 차이나바이오테크SOLACTIVE (10%) - 신흥시장 기회 활용

 

3. 리밸런싱 전략

주기: 분기별 1회 (3개월마다)

기준: 목표 비중에서 ±5% 이상 이탈 시 조정

주의사항: 바이오 섹터 특성상 급격한 변동 시 감정적 매매 지양

 

4. 출구 전략

부분 매도 구간:

30% 수익 달성 시 → 투자원금의 50% 회수

50% 수익 달성 시 → 추가 30% 회수

나머지 20%는 장기 보유로 복리 효과 극대화

 

5. 리스크 관리

손절매 기준: -20% 손실 시 전체 포지션의 50% 청산

 

 

※ 투자 유의사항: 본 리포트는 투자 판단 참고용이며, 모든 투자 결정과 그에 따른 손익은 투자자 본인의 책임입니다. 바이오 섹터는 높은 변동성을 보이므로 신중한 투자가 필요합니다.

 

CONTENTS

최근 주요 이슈

1단계 정성적 비교

2단계 정량적 비교

최우수 ETF 선정 및 선정근거

최우수 ETF 투자 전략

 

 

 

2025년 8월 현재 조선업계는 구조적 성장 사이클에 진입하며 국내 증권시장의 주요 투자 테마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한미 조선협력 MASGA 프로젝트, IMO 환경규제 강화, 미중 갈등에 따른 반사이익 등 다양한 호재가 맞물리며 조선업 ETF에 대한 투자자 관심이 급증하고 있습니다. 먼저, 최근 주요 이슈를 알아보겠습니다.

 

 

최근 주요 이슈

한미 MASGA 프로젝트의 전략적 중요성

2025년 7월 31일 오전, 한미 관세협상이 타결되었습니다. 관세 협상 타결의 핵심은 'MASGA(Make America Shipbuilding Great Again)' 프로젝트입니다. 총 1,500억 달러(약 208조 원) 규모의 조선협력 펀드를 통해 한국의 우수한 조선기술로 낙후된 미국 조선업을 재건하는 것이 골자입니다. 이 프로젝트는 단순한 수출 증대를 넘어 한국 조선업의 글로벌 입지를 획기적으로 강화할 전략적 기회로 입니다.

 

IMO 환경규제 강화와 친환경 선박 수요

국제해사기구(IMO)는 2027년부터 5,000톤 이상 선박에 대한 온실가스 감축 의무화를 시행합니다. 기준 미달 시 톤당 380달러의 탄소세가 부과되며, 이는 전 세계 해운업계의 친환경 선박 교체 수요를 촉발하는 강력한 동력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한국 조선사들은 LNG, 메탄올, 암모니아 추진선 등 고부가가치 친환경 선박 기술에서 세계 최고 수준의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미중 갈등에 따른 구조적 수혜

미국 무역대표부(USTR)의 중국산 선박 규제 강화로 글로벌 선주들의 발주처가 한국으로 이동하고 있습니다. 2025년 1분기 한국 조선업 시장점유율은 26.8%로 전년(15.8%) 대비 크게 상승했으며, 중국은 70.2%에서 48.8%로 급감했습니다. 이러한 구조적 변화는 중장기적으로 한국 조선업에 지속적인 수혜를 제공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ETF CHECK 사이트를 통해서 조회해 보았습니다. (조회일자 : 2025년 8월 7일, 검색어 : 조선)

국내 시장에 상장된 상품은 총 9개입니다. (ETF : 5개, ETN : 4개)

이중에서 ETN과 레버리지 ETF를 제외하고 4개 ETF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조선업 ETF 리스트(ETF CHECK)
조선업 ETF 리스트(ETF CHECK)

 

 

이제, 본격적으로 국내시장에 상장된 주요 조선업 ETF 4개에 대해 기초지수를 정성적으로 비교하고, 각 ETF의 항목별로 정량적으로 비교해 보겠습니다. 

 

1단계: 정성적 비교분석 (기초지수 비교분석)

 

HANARO Fn조선해운 ETF (441540)

① 기초지수 개념: FnGuide 조선해운지수를 추종하며, 조선업과 해상운수업종을 모두 포괄하는 광범위한 투자 스펙트럼을 제공합니다.

② 기초지수 특징: FICS 분류 기준 조선 및 해상운수 업종 유동시가총액 상위 15개 종목을 시가총액 가중방식으로 구성합니다. 조선업 70%, 해운업 30% 비중으로 구성되어 조선업의 직접적 수혜와 함께 해운업의 파생적 수혜도 함께 누릴 수 있습니다.

③ 구성종목 비율: HD현대중공업, HD한국조선해양, 삼성중공업, HMM, 한화오션 등 15개 종목으로 구성되며, 조선 대형주와 해운주를 균형 있게 편입하고 있습니다.

 

KODEX 친환경조선해운액티브 ETF (445150)

① 기초지수 개념: FnGuide K-친환경선박지수를 비교지수로 하는 액티브 ETF로, 친환경 선박 관련 기업들에 선별적 투자를 실행합니다.

② 기초지수 특징: 친환경 선박과 관련도가 높은 종목을 키워드 스코어링을 통해 선정하며, 운용사의 판단에 따라 비중 조절 및 지수 외 종목 편입이 가능한 액티브 전략을 채택합니다. IMO 환경규제 강화 트렌드에 가장 직접적으로 대응하는 포트폴리오입니다.

③ 구성종목 비율: 10개 내외 종목으로 구성되며, 주요 조선사 외에도 한화엔진 등 친환경 선박 기자재 업체들을 포함하여 7-9% 수준으로 비교적 고르게 분산투자합니다.

 

SOL 조선TOP3플러스 ETF (466920)

① 기초지수 개념: FnGuide 조선TOP3플러스지수를 추종하며, 국내 조선업 TOP3 기업과 조선 밸류체인 기업들에 집중 투자하는 대표적인 조선업 투자 상품입니다.

② 기초지수 특징: 조선 산업을 선도하는 대표 3종목(한화오션, 삼성중공업, HD한국조선해양)에 각 20%, 조선 밸류체인 10종목에 40% 비중으로 구성됩니다. 조선업 핵심 기업들의 성장을 가장 직접적으로 반영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③ 구성종목 비율: 총 13개 종목으로 구성되며, 조선 빅 3가 60%, 밸류체인 기업 10 종목이 40%를 차지하는 8:2 구조로 운영됩니다.

 

TIGER 조선TOP10 ETF (494670)

① 기초지수 개념: iSelect 조선TOP10지수를 추종하며, 순수 조선업에 특화된 포트폴리오를 구성합니다. 해운업이나 기타 업종을 배제하고 오직 선박 건조 관련 종목만을 편입합니다.

② 기초지수 특징: 평균 시총 3,000억원 이상의 조선 관련 기업 중 선박 건조 매출이 50% 이상인 종목을 시가총액 상위 순으로 최대 10종목 편입합니다. 개별 종목 최대 비중을 25%로 제한하여 집중도를 조절합니다.

③ 구성종목 비율: 조선 빅 4(한화오션 29.1%, HD현대중공업 23.1%, HD한국조선해양 19.8%, 삼성중공업 14.1%)가 총 86.1%를 차지하여 국내 최대 수준의 대형주 집중도를 보입니다.

 

투자자 유형별 ETF 추천

고위험·고수익 추구 투자자: TIGER 조선TOP10 또는 SOL 조선TOP3플러스를 추천합니다. 두 상품 모두 조선업 대형주에 80% 이상 집중 투자하여 조선업 호황의 직접적 수혜를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특히 TIGER는 순수 조선업 포트폴리오로 업종 순도가 가장 높습니다.

 

중위험·중수익 추구 투자자: HANARO Fn조선해운이 적합합니다. 조선업 70%, 해운업 30%로 구성되어 조선업의 변동성을 해운업이 일부 상쇄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15개 종목으로 분산투자되어 안정성이 높습니다.

 

저위험·저수익 추구 투자자: KODEX 친환경조선해운액티브를 권합니다. 액티브 운용을 통한 리스크 관리가 가능하고, 친환경이라는 장기 트렌드에 기반하여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성장을 추구할 수 있습니다. 10개 내외 종목에 고르게 분산투자되어 개별 종목 리스크가 제한적입니다.

 

 

2단계정량적 비교 (상장일, 순자산, 수수료율, 거래량, 거래대금, 배당수익률, 주가수익률)

 

2단계 정량적 비교분석에서는 ETF의 각 항목별로 MAX값 또는 MIN값을 1점으로 상대점수화해서 비교하도록 하겠습니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각 항목별 상대점수를 합산해서, 최고의 ETF를 찾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상장일 비교

  HANARO Fn조선해운: 1.000점 (2022.09.15, 1,057일)

  KODEX 친환경조선해운액티브: 0.942점 (2022.11.15, 996일)

  SOL 조선TOP3플러스: 0.636점 (2023.10.05, 672일)

  TIGER 조선TOP10: 0.273점 (2024.10.22, 289일)

 

순자산 비교

  SOL 조선TOP3플러스: 1.000점 (1조 3,153억 원)

  TIGER 조선TOP10: 0.350점 (4,599억 원)

  HANARO Fn조선해운: 0.085점 (1,112억 원)

  KODEX 친환경조선해운액티브: 0.041점 (536억 원)

 

수수료율 비교 (실부담비용률)

  TIGER 조선TOP10  : 1.000점 (0.4176%)

  HANARO Fn조선해운: 0.795점 (0.5256%)

  SOL 조선TOP3플러스: 0.773점 (0.5404%)

  KODEX 친환경조선해운액티브: 0.700점 (0.5965%)

 

거래량(60일 평균) 비교

  SOL 조선TOP3플러스: 1.000점 (3,208,726주)

  TIGER 조선TOP10: 0.490점 (1,573,027주)

  HANARO Fn조선해운: 0.040점 (127,192주)

  KODEX 친환경조선해운액티브: 0.023점 (72,914주)

 

거래대금(60일 평균) 비교

  SOL 조선TOP3플러스: 1.000점 (856억 원)

  TIGER 조선TOP10: 0.390점 (334억 원)

  HANARO Fn조선해운: 0.036점 (31억 원)

  KODEX 친환경조선해운액티브: 0.020점 (17억 원)

 

배당수익률 비교

  KODEX 친환경조선해운액티브: 1.000점 (0.72%) 

  HANARO Fn조선해운: 0.611점 (0.44%)

  TIGER 조선TOP10: 0.292점 (0.21%)

  SOL 조선TOP3플러스: 0.194점 (0.14%)

 

수익률 비교 (최근 3개월)

  KODEX 친환경조선해운액티브: 1.000점 (36.89%) 

  SOL 조선TOP3플러스: 0.878점 (32.39%)

  TIGER 조선TOP10: 0.813점 (30.00%)

  HANARO Fn조선해운: 0.783점 (28.89%)

 

수익률 비교 (최근 6개월)

  SOL 조선TOP3플러스: 1.000점 (70.57%)

  KODEX 친환경조선해운액티브: 0.997점 (70.36%) 

  TIGER 조선TOP10: 0.956점 (67.47%)

  HANARO Fn조선해운: 0.843점 (59.47%)

 

수익률 비교 (연초이후)

  SOL 조선TOP3플러스: 1.000 점 (101.00%)

  TIGER 조선TOP10: 0.925 점 (93.46%)

  KODEX 친환경조선해운액티브: 0.892점 (90.06%) 

  HANARO Fn조선해운: 0.780점 (78.76%)

 

수익률 비교 (최근 1년)

  TIGER 조선TOP10: 1.000 점 (143.51%)

  SOL 조선TOP3플러스: 0.996점 (142.91%)

  KODEX 친환경조선해운액티브: 0.841점 (120.66%) 

  HANARO Fn조선해운: 0.758점 (108.71%)

 

수익률 비교 (상장 이후)

  SOL 조선TOP3플러스: 1.000점 (235.77%)

  KODEX 친환경조선해운액티브: 0.765점 (180.45%) 

  HANARO Fn조선해운: 0.761점 (179.38%)

  TIGER 조선TOP10: 0.609 점 (143.51%)

 

수익률 정규화 점수

  SOL 조선TOP3플러스: 1.000점 (수익률 점수 합계 : 4.874점)

  KODEX 친환경조선해운액티브: 0.922점 (수익률 점수 합계 : 4.495점)

  TIGER 조선TOP10: 0.883점 (수익률 점수 합계 : 4.303점)

  HANARO Fn조선해운: 0.805점 (수익률 점수 합계 : 3.924점)

 

위의 항목들을 방사형 차트로 그려보겠습니다.

 

1위 SOL 조선TOP3플러스
1위 SOL 조선TOP3플러스

 

 

2위 TIGER 조선TOP10
2위 TIGER 조선TOP10

 

 

3위 KODEX 친환경조선해운액티브
3위 KODEX 친환경조선해운액티브

 

 

4위 HANARO Fn조선해운
4위 HANARO Fn조선해운

 

 

최종순위 및 총점수 

1위  SOL 조선TOP3플러스: 5.6030점

2위  TIGER 조선TOP10: 3.6781점

3위  KODEX 친환경조선해운액티브: 3.6479점

4위  HANARO Fn조선해운: 3.3711점

 

 

최우수 ETF 선정 및 선정근거

SOL 조선TOP3플러스 ETF 최우수 선정

정량적 비교분석 결과 SOL 조선TOP3플러스가 총 5.6030점으로 압도적 1위를 차지했습니다. 주요 선정근거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압도적 규모와 유동성: 순자산 1조 3,153억 원, 60일 평균 거래대금 856억 원으로 국내 최대 조선업 ETF입니다. 이는 투자자들의 매매 편의성과 시장 안정성을 크게 높입니다.

 

2. 탁월한 수익률 실적: 1년 수익률 142.91%, 상장 후 수익률 235.77%를 기록하며 조선업 호황의 수혜를 가장 효과적으로 구현했습니다.

 

3. 최적화된 포트폴리오 구성: 조선 빅 3 60%, 밸류체인 기업 40%의 8:2 구조로 조선업의 핵심 성장동력을 체계적으로 포착하면서도 적절한 분산효과를 제공합니다.

 

4. 시장 동향 부합성: 현재 조선업 시장의 핵심 트렌드인 대형주 중심 성장, 친환경 선박 수요 증가, 고부가가치 선박 수주 확대에 가장 부합하는 포트폴리오 구성을 보입니다.

 

5. 경쟁력 있는 비용구조: 총 보수 0.5404%로 액티브 펀드 대비 저렴하면서도 패시브 전략의 장점을 극대화합니다.

 

 

최우수 ETF 투자전략

분할매수 전략 (Dollar Cost Averaging)

조선업의 경기순환적 특성을 고려할 때 일시 투자보다는 3-6개월에 걸친 분할매수 전략을 권합니다. 월별 또는 격주별로 일정 금액을 투자하여 가격 변동성의 리스크를 분산시키고 평균 매수단가를 안정화할 수 있습니다.

 

중장기 보유전략 (3년 이상)

조선업 사이클의 특성상 최소 3년 이상의 장기투자 관점에서 접근해야 합니다. 현재 조선업은 구조적 성장 초기 단계로, 친환경 규제 강화, 노후 선박 교체 수요, 미중 갈등 등의 호재가 향후 수년간 지속될 전망입니다.

 

차익실현 전략

조선업의 높은 변동성을 고려하여 수익률 20-30% 달성 시 일부 차익실현을 검토하되, 핵심 포지션은 장기 보유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특히 라운드 피겨(2만 원, 3만 원 등) 근처에서는 차익매물 출현 가능성이 높아 주의가 필요합니다.

 

리스크 관리

개별 ETF 투자금액을 전체 포트폴리오의 10-15% 이내로 제한하여 과도한 섹터 집중을 피해야 합니다. 또한 국제 유가 변동, 글로벌 경기 둔화, 중국 조선업 회복 등의 리스크 요인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해야 합니다.

 

투자 시점 고려사항

조선업은 한국이 글로벌 경쟁우위를 보유한 몇 안 되는 산업 중 하나입니다. MASGA 프로젝트, IMO 환경규제, 친환경 선박 전환 등 구조적 성장 동력이 풍부한 상황에서 SOL 조선TOP3플러스는 이러한 기회를 가장 효과적으로 포착할 수 있는 최적의 투자 수단으로 평가됩니다. 다만 높은 변동성과 경기순환적 특성을 충분히 인지하고 신중한 리스크 관리 하에 투자하시기 바랍니다.

 

 

MONEY-PIPELINE
MONEY-PIPELINE

 

 

경제적 자유를 위해, 경제 · 금융 · 재테크 · 주식 세계를 탐험하는 여러분을 환영합니다! 

저는 40대에 들어선 순간부터, 경제, 금융, 재테크, 주식에 대해서 관심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그 전에는 회사에서 열심히 일만하며, 살았습니다. 그것이 저의 미래를 보장해줄거라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그렇게 15년 이상 직장생활을 한 어느날 40대가 되었습니다.

그러나, 어느하나 이룬것이 없었습니다.

 

여전히, 생활비, 아이 학원비, 대출금 이자 등 월급이 부족했습니다.

이제서야, 월급이 다가 아니다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월급 외에 머니-파이프라인을 구축하자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처음에는 주식차트 기술적분석 공부를 했습니다.

처음에는, 단타가 주식투자의 전부라고 생각했었습니다.

그러나, 타이밍 맞추기는 너무 너무 어려웠습니다.

 

이제는 단타, 스윙, 장기 투자, 그리고 퇴직연금 DC형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가지고 있는 증권사 계좌도 수십개입니다. (아직은 큰 수익은 없습니다만. ㅠ.ㅠ)

 

어떤 계좌는 매수만 하고 그대로 둔 계좌도 있고,

어떤 계좌는 계속 단타를 도전하고 있습니다.

 

제가 개인적으로 궁금한 부분에 대해서, 조사하고 공부하고 정리하는 블로그입니다.

저는 주식투자를 통해, 월급 외에 또 하나의 머니파이프라인을 구축하여, 경제적 자유를 얻는 것이 목표입니다.

 

이 블로그는 경제, 주식, ETF, 배당 투자 등 다양한 금융 주제에 대한 통찰력 있는 정보와 실용적인 조언을 제공하고자 합니다.

다같이, 경제적 자유를 위해, 경제, 주식, ETF, 배당 등 다양하게 공부해보시죠!!

Contents

① 양자컴퓨팅 2X 레버리지 ETF 상품 목록

② 기본정보 비교 분석(상장일, 순자산, 실부담 비용률, 거래량, 거래대금, 수익률)

③ 추가 정보(기초지수, 구성종목)

 

 

 

얼마 전, 국내시장에 상장된 양자(Quantum) 컴퓨팅 ETF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그러다 우연히, 미국상장 2배 레버리지 ETF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바로 저만의 방법으로 확인해 보았습니다.

 

 

① 양자(Quantum) 컴퓨팅 2X 레버리지 ETF 상품 목록

 

ETF CHECK 사이트를 통해 조회해 보았습니다.

(조회일자 : 2025년 7월 6일, 검색어 : 양자, 마켓 : 미국, 2X)

미국시장에 상장된 2배 레버리지 상품은 총 6개 조회되었습니다.

 

 

양자컴퓨터 검색 결과
양자컴퓨터 검색 결과

 

 

▶ 양자컴퓨터 2배 레버리지 ETF 상품이 있다는 것이 놀라웠습니다.

정확히 날짜가 기억나지는 않지만, 양자컴퓨터 관련 3배 레버리지 ETF 상품이 있었는데, 하루아침에 상장폐지 된 것을 기억하고 있습니다.

아직까지 양자컴퓨터 관련해서 변동성이 매우 심하다고 생각하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2배 레버리지 상품이 상장되어 있었다니, 놀라웠습니다.

 

▶ 티커명 밑에 상품명을 보면, IONQ, QBTS, RGTI 3개의 티커명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아직까지는 3개의 회사가 양자컴퓨터 시장의 대표기업이다는 것을 반증하고 있는 듯했습니다.

 

▶ 6개 상품중에서 6월 23일에 상장된 QUBX와 RGTU는 상장된 지 1달도 되어 않았습니다.

그래서, 비교 분석은 따로 하지 않고 제외하도록 하겠습니다.

물론, 나머지 4개 상품들도 불과 상장된지 3개월 정도밖에 되지 않아서, 비교 분석한다는 것이 큰 의미가 있을까? 하는 생각도 들었습니다만, 그래도 한번 진행해 보겠습니다.

 

 

 

② 기본정보 비교 분석(상장일, 순자산, 실부담 비용률, 거래량, 거래대금, 수익률)

 

(1) 상장일 비교 분석

NO 종목명 운용사 상장일 현재날짜 상장일
상대 점수
1 IONX Defiance ETFs 2025-03-11 2025-07-05 1.000
2 IONL Graniteshares 2025-03-24 2025-07-05 0.888
3 RGTX Defiance ETFs 2025-03-31 2025-07-05 0.828
4 QBTX AXS 2025-04-24 2025-07-05 0.621

 

▶ 4개의 상품이 거의 비슷한 시점에 상장되었습니다. 그리고 불과 3개월 정도밖에 되지 않습니다.

그래서 상장일 기간으로 비교 분석하는 것에 큰 의미가 없습니다.

 

 

(2) 순자산 비교 분석

NO 종목명 운용사  순자산(AUM)
(M) 
순자산
점수
1 IONX Defiance ETFs 69.4       1.000
2 QBTX AXS 54.4       0.784
3 RGTX Defiance ETFs 52.8       0.761
4 IONL Graniteshares 14.4       0.207

 

▶ IONX는 가장 먼저 상장되었고, 순자산도 가장 큰 금액입니다.

QBTX는 가장 최근에 상장되었는데, 순자산은 2위입니다. 투자자들의 관심이 QBTX 상품에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RGTX는 상장일 순위 3위, 순자산 순위 3위입니다.

IONL은 상장일 순위 2위인데, 순자산은 4위입니다. 투자자들은 IONL 상품에 관심이 없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IONX와 RGTX는 일반적인 경향을 보이고 있고, QBTX는 관심을 받고 있고, IONL은 다소 소외되고 있습니다.

 

 

(3) 실부담 비용률

NO 종목명 운용사 실부담비용률 실부담비용률
상대점수
1 QBTX AXS 1.30 1.000
2 IONX Defiance ETFs 1.31 0.992
3 RGTX Defiance ETFs 1.31 0.992
4 IONL Graniteshares 1.50 0.867

 

▶ 실부담 비용률은 QBTX가 1위로, 가장 저렴합니다. 실부담 비용률이 가장 저렴해서, 투자자들로부터 관심을 받고 있는 것일까요? 2위, 3위와 불과 0.01% 차이로 정말 미세한 차이로 보입니다.

순자산 비교 분석에서 QBTX가 투자자들로부터 관심을 받고 있다고 확인했는데, 그게 실부담비용률 때문만은 아닌 것으로 보입니다. 다른 뭔가가 있는 거 같습니다.

 

▶ IONL은 순자산 비교 분석에서 투자자들로부터 소외되고 있다고 확인했는데, 4개 상품중에서는 실부담비용률이 가장 높습니다.

소외되고 있는 요인 중에 실부담비용률이 큰 것이 여러 요인중에 하나로 보입니다.

하지만 그 차이도 불과 0.2%이기에, 실부담비용률 요인이 절대적인 요인은 아니고, 뭔가 다른 요인도 있는 거 같습니다.

 

 

(4) 거래량, 거래대금

NO 종목명 운용사 거래량(주)
(60일평균)
거래량
상대점수
(60일평균)
거래대금(K)
(60일평균)
거래대금
상대점수
(60일평균)
1 IONX Defiance ETFs     767,217 1.000       45,105 1.000
2 QBTX AXS     343,654 0.448       29,768 0.660
3 RGTX Defiance ETFs     668,658 0.872       23,411 0.519
4 IONL Graniteshares       94,154 0.123        4,134 0.092

 

▶ IONX 상품이 가장 먼저 상장되었고, 순자산도 가장 큰 금액이었고, 거래량, 거래대금도 1순위입니다.

양자컴퓨터 2배 레버리지 ETF 상품에서 가장 우수한 상품으로 보입니다.

거래대금을 보면, IONX 상품이 다른 상품에 비해 월등히 큰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순자산, 거래량, 거래대금을 보면, 비슷한 경향을 확인할 수 있는데요.

수익률은 어떠할까요?

 

 

 

(5) 수익률(1개월, 3개월)

NO 종목명 수익률
(1개월)
상대점수
(1개월)
수익률
(3개월)
상대점수
(3개월)
수익률
상대점수
수익률
상대점수
normalize
1 IONL 18.02 0.942 246.72 1.000 1.942 1.000
2 IONX 17.30 0.904 242.05 0.981 1.885 0.971
3 RGTX 19.13 0.000 128.60 0.521 0.521 0.268
4 QBTX -16.38 0.000   0.000 0.000 0.000

 

▶ 수익률에서는 IONL의 점수가 가장 높았습니다. 순자산, 거래량, 거래대금으로 보았을 때는 IONX가 1위를 했어야 했는데,

결과는 2위로 나왔습니다. 근소한 차이로 IONL이 IONX를 앞섰습니다.

 

더구나, QBTX는 순자산 면에서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는 것을 확인했는데, 최근 1개월 수익률은 마이너스를 보였습니다.

그렇다면, 조정받고 있다는 이야기인데, 이를 투자자들이 눌림목이라고 판단하고 있어서 매수가 집중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6) 종합점수

NO 종목명 상장일
상대 점수
순자산
점수
실부담비용률
상대점수
거래량
상대점수
(60일평균)
거래대금
상대점수
(60일평균)
수익률
상대점수
normalize
총점수
1 IONX 1.000       1.000 0.992 1.000 1.000 0.971        5.96
2 RGTX 0.828       0.761 0.992 0.872 0.519 0.268        4.24
3 QBTX 0.621       0.784 1.000 0.448 0.660 0.000        3.51
4 IONL 0.888       0.207 0.867 0.123 0.092 1.000        3.18

 

▶ 4개 상품 모두 상장된 지 200일도 되지 않아, 비교 분석하기에는 기간이 짧아 데이터가 부족합니다만,

지금 시점에서 제 나름의 방법으로 항목별 점수를 부여하고 종합해 본 결과, IONX 상품이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습니다.

1위 IONX , 2위 RGTX , 3위 QBTX , 4위 IONL 순으로 나왔습니다.

 

투자 시 참고하셔서 투자하시기 바랍니다.

 

 

③ 추가정보(구성종목)

위의 4개 상품은 아이온큐, 디웨이브퀀텀, 리게티컴퓨팅 주식의 2배 레버리지 상품들입니다.

구성종목을 확인해 보겠습니다.

 

양자컴퓨팅 2X 레버리지 ETF 구성종목
양자컴퓨팅 2X 레버리지 ETF 구성종목

 

 

▶ 비중들을 보면, 100%가 넘는 것이 있습니다. 이건 레버리지 ETF의 구조적 특성 때문입니다.

 

★ 위 상품들을 보면, 거의 단일 주식과 파생상품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얼마 전 3배 레버리지 ETF가 하룻밤에 상장폐지 된 것이 아직도 기억에 선명하게 남아 있습니다.

특히, 위 상품들은 파생상품들의 비중이 매우 높으니, 투자 시 유의가 필요합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