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투자신탁운용 최민규 글로벌주식운용담당은 미국 증시 약세 우려에도 불구하고 미국 주식 비중을 70% 이상 유지할 것을 권고했습니다. 매그니피센트7(M7) 등 AI 빅테크와 반도체 기업 투자 전략이 여전히 유효하다고 강조하며, AI 산업에서의 미국 독점 구조가 지속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특히 전력주와 원전·소형모듈원전(SMR) 등 AI 인프라 관련 종목에 주목할 것을 조언했으며, 미국 기업으로는 레딧, 페이팔 등 AI 활용에 적극적인 기업들을 추천했습니다.
국내 투자의 경우 포트폴리오의 10~20%를 국내 주식으로 구성하되, 조선·방위산업·원전·콘텐츠·뷰티 등 K수출이 강세인 분야에 집중할 것을 제안했습니다. 한투운용은 이러한 전략을 반영한 '한국투자한미핵심성장포커스' 펀드를 9월 출시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그래서, 한번 찾아보았습니다.
원전 · SMR 관련된 ETF는 무엇이 있고, 각각의 ETF는 어떤 기초지수를 따르는지, 그리고 정량적으로 비교해 보았습니다. ETF를 선택하는데,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ETF CHECK 사이트에서 "원자력" 키워드로 검색해보았습니다.
검색결과, 7개의 ETF가 조회되었습니다.
원자력 ETF 리스트(2025.08.25)(출처: ETF CHECK)
가장 먼저, 각 ETF별 기초지수의 개념, 특징, 종목을 구성하는 프로세스 및 구성종목을 살펴보겠습니다.
1. DeepSearch 원자력 테마 지수 (ACE 원자력테마딥서치)
○ 개념: 국내 상장종목 중 원자력 테마와의 키워드 연관도를 정량화하여 구성하는 지수
○ 특징: ① 테마 순수성보다 연관성 중시: 원자력 직접 관련뿐만 아니라 간접 관련 기업까지 포괄,
② 20개 내외 종목으로 분산투자 효과 추구
③ 균등가중방식 적용으로 특정 종목 쏠림 방지
○ 종목 선별 프로세스
1단계: 유니버스 설정
- 유가증권시장 + 코스닥시장 전 종목 대상
2단계: 기본 필터링
- 관리종목, 정리매매종목, 우선주 제외
- 최소 유동성 조건 충족 종목만 선별
3단계: 테마 연관도 스코어링
- 원자력발전, 원자로, 핵연료, 우라늄, 방사능 등 핵심 키워드 분석
- 사업보고서, 공시자료에서 키워드 빈도 및 중요도 계산
- 정량적 스코어링 시스템으로 연관도 수치화
4단계: 최종 종목 선정
- 스코어 상위 20개 내외 종목 선정
- 균등가중방식 적용하여 지수 산출
○ 구성종목 TOP10
ACE 원자력테마딥서치 ETF 구성종목 TOP10
2. iSelect 원자력 지수 (HANARO 원자력iSelect)
○ 개념: NH투자증권의 AI 필터링 기술을 활용한 원자력 테마 지수
○ 특징: ① 40개 종목 선별적 구성: 원자력, 원전, SMR 키워드 기반 스코어링
② 자연어처리(NLP) 기술 활용으로 테마 연관성 수치화
③ 유동시가총액 가중방식으로 시장 효율성 반영
○ 종목 선별 프로세스
1단계: AI 키워드 필터링
- 원자력, 원전, 소형모듈원자로(SMR) 등 핵심 키워드 설정
- 자연어처리(NLP) 기술로 문서 내 키워드 연관성 분석
2단계: 스코어링 및 랭킹
- AI 필터링 기술로 테마 순수도 점수 산출
- 키워드 빈도와 테마 연관성 비례 가정
3단계: 40개 종목 선별
- 스코어 상위 40개 종목을 1차 선정
- 유동성, 시가총액 등 정량적 기준 추가 검토
4단계: 가중치 부여
- 유동시가총액 가중방식으로 최종 지수 구성
○ 구성종목 TOP10
HANARO 원자력iSelect ETF 구성종목 TOP10
3. Solactive Global Nuclear Energy Value Chain Index (PLUS 글로벌원자력밸류체인)
○ 개념: 독일 Solactive에서 산출하는 글로벌 원자력 밸류체인 포괄 지수
○ 특징: ① 후방(우라늄 채굴) → 전방(원전 운영) 전 밸류체인 커버
② 글로벌 분산투자: 미국, 캐나다, 호주 등 주요국 원자력 기업 포함
③ 산업별 균형배분으로 특정 섹터 리스크 완화
○ 종목 선별 프로세스
1단계: 글로벌 유니버스 구축
- 전 세계 원자력 관련 상장기업 대상
- 시가총액 1억 달러 이상 기업만 포함
2단계: 밸류체인 분류
- 후방: 우라늄 채굴, 정제, 농축 기업
- 중방: 원자로 설계, 부품 제조 기업
- 전방: 원전 건설, 운영, 정비 기업
3단계: 산업별 균형배분
- 지역별, 산업별 과도한 집중 방지
- 리스크 분산을 위한 포트폴리오 최적화
4단계: 유동시가총액 가중
- 시장 효율성을 반영한 가중치 부여
○ 구성종목 TOP10
PLUS 글로벌원자력밸류체인 ETF 구성종목 TOP10
4. iSelect Global Nuclear Power Index (RISE 글로벌원자력)
○ 개념: NH투자증권의 글로벌 원자력 우량기업 선별 지수
○ 특징: ① 시장 지배력과 경쟁력 중심의 정성적 평가
② 국내외 혼합구성: 글로벌 대장주 + 한국 원자력 대표기업
③ 성장성과 수익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종목 선정
○ 종목 선별 프로세스
1단계: 글로벌 스크리닝
- 국내외 원자력 관련 기업 전수조사
- 시가총액 1억달러 이상, 60일 평균 거래대금 30만 달러 이상 조건
2단계: 정성적 평가
- 산업 내 시장 지배력 평가
- 기술 경쟁력 및 성장성 종합 검토
- ESG 요소 등 지속가능성 고려
3단계: 국내외 균형 구성
- 글로벌 대장주 + 한국 대표기업 조합
- 지역별 다양성 확보
4단계: 유동시가총액 가중
- 시장 규모에 비례한 가중치 적용
○ 구성종목 TOP10
RISE 글로벌원자력 ETF 구성종목 TOP10
5. KEDI U.S. Nuclear Power SMR Index (SOL 미국원자력SMR)
○ K뷰티 수출이 꾸준히 증가세를 보이고 있으며, 7월 잠정 수출액은 9억 3,516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7.09% 증가,
월평균 증가율이 20%를 넘는 달도 많아 지속적인 성장세를 확인
[긍정적 요인들]
① 미국 주요 유통업체(얼타뷰티, 세포라 등)에 입점한 K뷰티 브랜드가 작년 대비 두 배 이상 증가
② 프랑스, 영국 등 유럽 체인점으로도 입점 확대 추세
③ 외국인 지분율 상승: 에이피알 14.04%→23.04%, 한국콜마 34.71%→41.63%, 코스맥스 31.8%→36.56%로 증가하여 주가 하방 지지 역할
그래서, 한번 찾아보았습니다.
K뷰티와 관련된 ETF는 무엇이 있고, 어느 ETF가 투자하기에 가장 좋은 ETF인지 알아보겠습니다.
1단계: 정성적 비교 분석
TIGER 화장품 (종목코드: 228790)
① 기초지수(WISE 화장품 지수)의 개념 및 특징
WISE 화장품 지수를 추종하며, 화장품 산업 또는 화장품 산업과 연관되는 사업을 영위하는 기업들을 종합적으로 포괄하는 대표 지수입니다. 2011년부터 장기간 검증된 안정적인 지수 체계를 갖추고 있습니다.
유가증권시장 및 코스닥시장 상장 종목 중 화장품 관련 사업을 영위하는 기업을 지수구성 심의위원회의 심의를 통해 선정하며, 시가총액 비중방식으로 지수를 산출합니다. 분기별 정기변경을 통해 시장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합니다.
② 적합한 투자자 유형: 중위험·중수익을 추구하는 투자자
10년간의 운용 경험과 17개 종목 분산투자로 안정성을 확보했으며, 2,788억 원의 대규모 순자산으로 유동성이 우수합니다. 연 0.25%의 배당수익률로 안정적인 현금흐름도 제공합니다.
TIGER 화장품 주가 차트(상장이후)
HANARO K-뷰티 (종목코드: 479850)
① 기초지수(FnGuide K-뷰티)의 개념 및 특징
FnGuide K-뷰티 지수를 추종하며, 단순한 화장품을 넘어 필러, 보톡스 등 미용의료 분야까지 포괄하는 확장된 K-뷰티 개념을 적용한 혁신적 지수입니다. 시가총액 2,000억 원 이상, 평균 거래대금 10억 원 이상인 기업 중에서 화장품, 피부미용, 보톡스, 필러 관련 핵심 키워드 점수가 높은 상위 20개 종목을 유동시가총액 가중방식으로 구성합니다. K-뷰티 산업의 밸류체인 전반을 포괄하는 종합적 접근법입니다.
② 적합한 투자자 유형: 중위험·중수익을 추구하는 투자자
화장품과 미용의료 테마 결합으로 리스크를 분산시켰으며, 20개 종목 분산투자와 대형주 중심 구성으로 상대적 안정성을 확보했습니다. 상장 1년 여가 경과하여 어느 정도 안정성이 검증되었습니다.
HANARO K-뷰티 주가 차트(상장이후)
SOL 화장품TOP3플러스 (종목코드: 0008T0)
① 기초지수(FnGuide 화장품 TOP3 플러스 지수)의 개념 및 특징
FnGuide 화장품TOP3플러스지수(PR)를 추종하며, 화장품 산업의 분업화에 따른 유통, 브랜드, ODM 분야별 대표 종목을 선정하는 혁신적 접근법을 채택했습니다. 이는 기존의 시가총액 중심 지수와 차별화된 전략적 구성입니다.
화장품 키워드 합산 스코어 상위 50 종목 중에서 유통, 브랜드, ODM 분야별 시가총액 1위 'TOP3 종목'을 각 20%씩 편입(총 60%)하고, 나머지 시가총액 상위 7 종목을 '플러스 종목'으로 구성(40%)하는 독특한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② 적합한 투자자 유형: 고위험·고수익을 추구하는 투자자
상장 기간이 짧고(206일) TOP3 종목에 60% 집중투자하는 구조로 변동성이 높지만, 신규 ETF로서 유동성 리스크는 있으나 수익 잠재력이 큽니다.
SOL 화장품TOP3플러스 주가차트(상장이후)
2단계: 정량적 비교 분석
종합 점수 및 순위
1위 : TIGER 화장품 (6.369점)
2위 : HANARO K-뷰티 (3.164점)
3위 : SOL 화장품TOP3플러스 (2.412점)
세부 항목별 분석
1. 상장일 비교 분석
TIGER 화장품: 1.000점 (2015년 10월 7일 상장, 3,600일)
HANARO K-뷰티: 0.135점 (2024년 4월 16일 상장, 486일)
SOL 화장품TOP3플러스: 0.057점 (2025년 1월 21일 상장, 206일)
▶ TIGER 화장품이 10년간의 검증된 운용 경험으로 압도적 우위를 보였습니다.
2. 순자산 비교 분석
TIGER 화장품: 1.000점 (2,788억 원)
SOL 화장품TOP3플러스: 0.297점 (827억 원)
HANARO K-뷰티: 0.141점 (394억 원)
▶ TIGER 화장품의 순자산이 다른 ETF 대비 압도적으로 크며, 이는 유동성과 안정성 측면에서 큰 장점입니다.
3. 수수료율 비교 분석
SOL 화장품TOP3플러스: 1.000점 (0.4971%)
HANARO K-뷰티: 0.909점 (0.5471%)
TIGER 화장품: 0.768점 (0.6470%)
▶ SOL 화장품TOP3플러스가 최저 수수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는 최근에 상장된 ETF들이 수수료율을 낮추는 경향을 잘 보여줍니다. 반변, 가장 먼저 상장된 TIGER 화장품은 3개 중에 가장 높은 수준입니다.
4. 거래량(60일 평균) 비교 분석
TIGER 화장품: 1.000점 (6,504,484주)
SOL 화장품TOP3플러스: 0.086점 (557,200주)
HANARO K-뷰티: 0.027점 (177,401주)
▶ TIGER 화장품의 거래량이 압도적으로 높아 매매 시 유동성이 가장 좋습니다.
5. 거래대금(60일 평균) 비교 분석
TIGER 화장품: 1.000점 (260억 원)
SOL 화장품TOP3플러스: 0.327점 (85억 원)
HANARO K-뷰티: 0.112점 (29억 원)
▶ 거래대금 측면에서도 TIGER 화장품이 가장 활발한 거래를 보이고 있습니다.
6. 배당수익률 비교 분석
TIGER 화장품: 1.000점 (0.25%)
HANARO K-뷰티: 0.840점 (0.21%)
SOL 화장품TOP3플러스: 0.000점 (0%)
▶ TIGER 화장품이 3개 중에 가장 배당수익률이 좋습니다.
7. 수익률 정규화 점수
5개 기간별 수익률(3개월, 6개월, 연초 이후, 1년, 상장 이후)의 정규화 결과:
HANARO K-뷰티: 1.000점
SOL 화장품TOP3플러스: 0.645점
TIGER 화장품: 0.600점
▶ 수익률(3M, 6M, YTD, 12M, MAX) 측면에서는 HANARO K-뷰티가 가장 우수한 성과를 보였습니다.
한국의 고령화 사회 진입과 글로벌 바이오 의료기술 혁신이 맞물리면서, 바이오산업은 2025년 최대 관심 분야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 GLP-1 기반 비만치료제 시장의 폭발적 성장, ADC(항체약물접합체) 기술 혁신, CDMO(위탁개발생산) 산업 확대와 함께 금리 인하 기대감까지 더해지면서 바이오 ETF에 대한 투자 열기가 뜨거워지고 있습니다.
최근 바이오 산업의 이슈는 무엇이 있지 살펴보겠습니다.
최근 바이오 산업 이슈
1. GLP-1 비만치료제 시장 급성장
2025년 글로벌 비만치료제 시장은 골드만삭스 전망에 따르면 연평균 50% 성장하여 2030년 130조 원 규모에 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노보노디스크의 위고비와 일라이릴리의 젭바운드가 시장을 주도하며, 이들의 2025년 1분기 매출은 각각 전년 대비 24%, 26% 증가했습니다.
2. ADC(항체약물접합체) 기술 혁신
ADC 시장은 2023년 97억 달러에서 2028년 약 300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전망입니다. 특히 다이이찌 산쿄와 아스트라제네카의 엔허투가 2023년 약 3조 5천억 원 매출을 기록하며, 차세대 정밀의료의 핵심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3. CDMO 산업 본격 확대
글로벌 바이오의약품 CDMO 시장은 2023년 196.8억 달러에서 2029년 438.5억 달러로 연평균 14.3% 성장이 예상됩니다. 삼성바이오로직스의 5공장 가동 개시와 셀트리온의 CDMO 사업 진출 등 국내 기업들의 글로벌 시장 점유율 확대가 기대됩니다.
4. 미국 트럼프 행정부 의약품 관세
우리나라는 그간 한미 FTA, EU·스위스 등과 함께 의약품 교역이 무관세로 이뤄져 왔지만, 최근 미 행정부가 15%~최대 250%의 관세 부과 방침을 예고하며, 직접 수출 기업의 가격 경쟁력 약화와 비용 부담이 불가피해졌습니다. 이에, 아직 관세 품목·시기·수준이 확정되지 않아 전문가들조차 의견이 엇갈리며, 단기적으로는 바이오 섹터, 특히 미국 매출 비중이 높은 종목 중심으로 단기 변동성 확대가 불가피하다는 분석입니다.
위의 사항들을 염두해두고, ‘바이오’ 관련 ETF들을 조사해 보겠습니다.
바이오산업 ETF 리스트
[정성적 비교 분석]
1. TIGER 바이오TOP10 (364970)
① 기초지수 개념
KRX 바이오 TOP10 지수를 추종하며,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 상장 바이오산업군 내 대표기업 10 종목으로 구성됩니다. 시가총액 상위 3개 종목에 각각 25%(총 75%)를 배정하고, 나머지 7개 종목에 25%를 배정하는 구조입니다.
② 기초지수 특징
· 시가총액 집중: 상위 3개 종목(셀트리온, 알테오젠, 삼성바이오로직스)이 전체의 75%를 차지
2025년 8월 현재 조선업계는 구조적 성장 사이클에 진입하며 국내 증권시장의 주요 투자 테마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한미 조선협력 MASGA 프로젝트, IMO 환경규제 강화, 미중 갈등에 따른 반사이익 등 다양한 호재가 맞물리며 조선업 ETF에 대한 투자자 관심이 급증하고 있습니다. 먼저, 최근 주요 이슈를 알아보겠습니다.
최근 주요 이슈
한미 MASGA 프로젝트의 전략적 중요성
2025년 7월 31일 오전, 한미 관세협상이 타결되었습니다. 관세 협상 타결의 핵심은 'MASGA(Make America Shipbuilding Great Again)' 프로젝트입니다. 총 1,500억 달러(약 208조 원) 규모의 조선협력 펀드를 통해 한국의 우수한 조선기술로 낙후된 미국 조선업을 재건하는 것이 골자입니다. 이 프로젝트는 단순한 수출 증대를 넘어 한국 조선업의 글로벌 입지를 획기적으로 강화할 전략적 기회로 입니다.
IMO 환경규제 강화와 친환경 선박 수요
국제해사기구(IMO)는 2027년부터 5,000톤 이상 선박에 대한 온실가스 감축 의무화를 시행합니다. 기준 미달 시 톤당 380달러의 탄소세가 부과되며, 이는 전 세계 해운업계의 친환경 선박 교체 수요를 촉발하는 강력한 동력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한국 조선사들은 LNG, 메탄올, 암모니아 추진선 등 고부가가치 친환경 선박 기술에서 세계 최고 수준의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미중 갈등에 따른 구조적 수혜
미국 무역대표부(USTR)의 중국산 선박 규제 강화로 글로벌 선주들의 발주처가 한국으로 이동하고 있습니다. 2025년 1분기 한국 조선업 시장점유율은 26.8%로 전년(15.8%) 대비 크게 상승했으며, 중국은 70.2%에서 48.8%로 급감했습니다. 이러한 구조적 변화는 중장기적으로 한국 조선업에 지속적인 수혜를 제공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ETF CHECK 사이트를 통해서 조회해 보았습니다. (조회일자 : 2025년 8월 7일, 검색어 : 조선)
국내 시장에 상장된 상품은 총 9개입니다. (ETF : 5개, ETN : 4개)
이중에서 ETN과 레버리지 ETF를 제외하고 4개 ETF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조선업 ETF 리스트(ETF CHECK)
이제, 본격적으로국내시장에 상장된 주요 조선업 ETF 4개에 대해 기초지수를 정성적으로 비교하고, 각 ETF의 항목별로 정량적으로 비교해 보겠습니다.
1단계: 정성적 비교분석 (기초지수 비교분석)
HANARO Fn조선해운 ETF (441540)
① 기초지수 개념: FnGuide 조선해운지수를 추종하며, 조선업과 해상운수업종을 모두 포괄하는 광범위한 투자 스펙트럼을 제공합니다.
② 기초지수 특징: FICS 분류 기준 조선 및 해상운수 업종 유동시가총액 상위 15개 종목을 시가총액 가중방식으로 구성합니다. 조선업 70%, 해운업 30% 비중으로 구성되어 조선업의 직접적 수혜와 함께 해운업의 파생적 수혜도 함께 누릴 수 있습니다.
③ 구성종목 비율: HD현대중공업, HD한국조선해양, 삼성중공업, HMM, 한화오션 등 15개 종목으로 구성되며, 조선 대형주와 해운주를 균형 있게 편입하고 있습니다.
KODEX 친환경조선해운액티브 ETF (445150)
① 기초지수 개념: FnGuide K-친환경선박지수를 비교지수로 하는 액티브 ETF로, 친환경 선박 관련 기업들에 선별적 투자를 실행합니다.
② 기초지수 특징: 친환경 선박과 관련도가 높은 종목을 키워드 스코어링을 통해 선정하며, 운용사의 판단에 따라 비중 조절 및 지수 외 종목 편입이 가능한 액티브 전략을 채택합니다. IMO 환경규제 강화 트렌드에 가장 직접적으로 대응하는 포트폴리오입니다.
③ 구성종목 비율: 10개 내외 종목으로 구성되며, 주요 조선사 외에도 한화엔진 등 친환경 선박 기자재 업체들을 포함하여 7-9% 수준으로 비교적 고르게 분산투자합니다.
SOL 조선TOP3플러스 ETF (466920)
① 기초지수 개념: FnGuide 조선TOP3플러스지수를 추종하며, 국내 조선업 TOP3 기업과 조선 밸류체인 기업들에 집중 투자하는 대표적인 조선업 투자 상품입니다.
② 기초지수 특징: 조선 산업을 선도하는 대표 3종목(한화오션, 삼성중공업, HD한국조선해양)에 각 20%, 조선 밸류체인 10종목에 40% 비중으로 구성됩니다. 조선업 핵심 기업들의 성장을 가장 직접적으로 반영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③ 구성종목 비율: 총 13개 종목으로 구성되며, 조선 빅 3가 60%, 밸류체인 기업 10 종목이 40%를 차지하는 8:2 구조로 운영됩니다.
TIGER 조선TOP10 ETF (494670)
① 기초지수 개념: iSelect 조선TOP10지수를 추종하며, 순수 조선업에 특화된 포트폴리오를 구성합니다. 해운업이나 기타 업종을 배제하고 오직 선박 건조 관련 종목만을 편입합니다.
② 기초지수 특징: 평균 시총 3,000억원 이상의 조선 관련 기업 중 선박 건조 매출이 50% 이상인 종목을 시가총액 상위 순으로 최대 10종목 편입합니다. 개별 종목 최대 비중을 25%로 제한하여 집중도를 조절합니다.
③ 구성종목 비율: 조선 빅 4(한화오션 29.1%, HD현대중공업 23.1%, HD한국조선해양 19.8%, 삼성중공업 14.1%)가 총 86.1%를 차지하여 국내 최대 수준의 대형주 집중도를 보입니다.
투자자 유형별 ETF 추천
고위험·고수익 추구 투자자: TIGER 조선TOP10 또는 SOL 조선TOP3플러스를 추천합니다. 두 상품 모두 조선업 대형주에 80% 이상 집중 투자하여 조선업 호황의 직접적 수혜를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특히 TIGER는 순수 조선업 포트폴리오로 업종 순도가 가장 높습니다.
중위험·중수익 추구 투자자: HANARO Fn조선해운이 적합합니다. 조선업 70%, 해운업 30%로 구성되어 조선업의 변동성을 해운업이 일부 상쇄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15개 종목으로 분산투자되어 안정성이 높습니다.
저위험·저수익 추구 투자자: KODEX 친환경조선해운액티브를 권합니다. 액티브 운용을 통한 리스크 관리가 가능하고, 친환경이라는 장기 트렌드에 기반하여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성장을 추구할 수 있습니다. 10개 내외 종목에 고르게 분산투자되어 개별 종목 리스크가 제한적입니다.
2단계: 정량적 비교 (상장일, 순자산, 수수료율, 거래량, 거래대금, 배당수익률, 주가수익률)
2단계 정량적 비교분석에서는 ETF의 각 항목별로 MAX값 또는 MIN값을 1점으로 상대점수화해서 비교하도록 하겠습니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각 항목별 상대점수를 합산해서, 최고의 ETF를 찾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상장일 비교
HANARO Fn조선해운: 1.000점 (2022.09.15, 1,057일)
KODEX 친환경조선해운액티브: 0.942점 (2022.11.15, 996일)
SOL 조선TOP3플러스: 0.636점 (2023.10.05, 672일)
TIGER 조선TOP10: 0.273점 (2024.10.22, 289일)
순자산 비교
SOL 조선TOP3플러스: 1.000점 (1조 3,153억 원)
TIGER 조선TOP10: 0.350점 (4,599억 원)
HANARO Fn조선해운: 0.085점 (1,112억 원)
KODEX 친환경조선해운액티브: 0.041점 (536억 원)
수수료율 비교 (실부담비용률)
TIGER 조선TOP10 : 1.000점 (0.4176%)
HANARO Fn조선해운: 0.795점 (0.5256%)
SOL 조선TOP3플러스: 0.773점 (0.5404%)
KODEX 친환경조선해운액티브: 0.700점 (0.5965%)
거래량(60일 평균) 비교
SOL 조선TOP3플러스: 1.000점 (3,208,726주)
TIGER 조선TOP10: 0.490점 (1,573,027주)
HANARO Fn조선해운: 0.040점 (127,192주)
KODEX 친환경조선해운액티브: 0.023점 (72,914주)
거래대금(60일 평균) 비교
SOL 조선TOP3플러스: 1.000점 (856억 원)
TIGER 조선TOP10: 0.390점 (334억 원)
HANARO Fn조선해운: 0.036점 (31억 원)
KODEX 친환경조선해운액티브: 0.020점 (17억 원)
배당수익률 비교
KODEX 친환경조선해운액티브: 1.000점 (0.72%)
HANARO Fn조선해운: 0.611점 (0.44%)
TIGER 조선TOP10: 0.292점 (0.21%)
SOL 조선TOP3플러스: 0.194점 (0.14%)
수익률 비교 (최근 3개월)
KODEX 친환경조선해운액티브: 1.000점 (36.89%)
SOL 조선TOP3플러스: 0.878점 (32.39%)
TIGER 조선TOP10: 0.813점 (30.00%)
HANARO Fn조선해운: 0.783점 (28.89%)
수익률 비교 (최근 6개월)
SOL 조선TOP3플러스: 1.000점 (70.57%)
KODEX 친환경조선해운액티브: 0.997점 (70.36%)
TIGER 조선TOP10: 0.956점 (67.47%)
HANARO Fn조선해운: 0.843점 (59.47%)
수익률 비교 (연초이후)
SOL 조선TOP3플러스: 1.000 점 (101.00%)
TIGER 조선TOP10: 0.925 점 (93.46%)
KODEX 친환경조선해운액티브: 0.892점 (90.06%)
HANARO Fn조선해운: 0.780점 (78.76%)
수익률 비교 (최근 1년)
TIGER 조선TOP10: 1.000 점 (143.51%)
SOL 조선TOP3플러스: 0.996점 (142.91%)
KODEX 친환경조선해운액티브: 0.841점 (120.66%)
HANARO Fn조선해운: 0.758점 (108.71%)
수익률 비교 (상장 이후)
SOL 조선TOP3플러스: 1.000점 (235.77%)
KODEX 친환경조선해운액티브: 0.765점 (180.45%)
HANARO Fn조선해운: 0.761점 (179.38%)
TIGER 조선TOP10: 0.609 점 (143.51%)
수익률 정규화 점수
SOL 조선TOP3플러스: 1.000점 (수익률 점수 합계 : 4.874점)
KODEX 친환경조선해운액티브: 0.922점 (수익률 점수 합계 : 4.495점)
TIGER 조선TOP10: 0.883점 (수익률 점수 합계 : 4.303점)
HANARO Fn조선해운: 0.805점 (수익률 점수 합계 : 3.924점)
위의 항목들을 방사형 차트로 그려보겠습니다.
1위 SOL 조선TOP3플러스
2위 TIGER 조선TOP10
3위 KODEX 친환경조선해운액티브
4위 HANARO Fn조선해운
최종순위 및 총점수
1위 SOL 조선TOP3플러스: 5.6030점
2위 TIGER 조선TOP10: 3.6781점
3위 KODEX 친환경조선해운액티브: 3.6479점
4위 HANARO Fn조선해운: 3.3711점
최우수 ETF 선정 및 선정근거
SOL 조선TOP3플러스 ETF 최우수 선정
정량적 비교분석 결과 SOL 조선TOP3플러스가 총 5.6030점으로 압도적 1위를 차지했습니다. 주요 선정근거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압도적 규모와 유동성: 순자산 1조 3,153억 원, 60일 평균 거래대금 856억 원으로 국내 최대 조선업 ETF입니다. 이는 투자자들의 매매 편의성과 시장 안정성을 크게 높입니다.
2. 탁월한 수익률 실적: 1년 수익률 142.91%, 상장 후 수익률 235.77%를 기록하며 조선업 호황의 수혜를 가장 효과적으로 구현했습니다.
3. 최적화된 포트폴리오 구성: 조선 빅 3 60%, 밸류체인 기업 40%의 8:2 구조로 조선업의 핵심 성장동력을 체계적으로 포착하면서도 적절한 분산효과를 제공합니다.
4. 시장 동향 부합성: 현재 조선업 시장의 핵심 트렌드인 대형주 중심 성장, 친환경 선박 수요 증가, 고부가가치 선박 수주 확대에 가장 부합하는 포트폴리오 구성을 보입니다.
5. 경쟁력 있는 비용구조: 총 보수 0.5404%로 액티브 펀드 대비 저렴하면서도 패시브 전략의 장점을 극대화합니다.
최우수 ETF 투자전략
분할매수 전략 (Dollar Cost Averaging)
조선업의 경기순환적 특성을 고려할 때 일시 투자보다는 3-6개월에 걸친 분할매수 전략을 권합니다. 월별 또는 격주별로 일정 금액을 투자하여 가격 변동성의 리스크를 분산시키고 평균 매수단가를 안정화할 수 있습니다.
중장기 보유전략 (3년 이상)
조선업 사이클의 특성상 최소 3년 이상의 장기투자 관점에서 접근해야 합니다. 현재 조선업은 구조적 성장 초기 단계로, 친환경 규제 강화, 노후 선박 교체 수요, 미중 갈등 등의 호재가 향후 수년간 지속될 전망입니다.
차익실현 전략
조선업의 높은 변동성을 고려하여 수익률 20-30% 달성 시 일부 차익실현을 검토하되, 핵심 포지션은 장기 보유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특히 라운드 피겨(2만 원, 3만 원 등) 근처에서는 차익매물 출현 가능성이 높아 주의가 필요합니다.
리스크 관리
개별 ETF 투자금액을 전체 포트폴리오의 10-15% 이내로 제한하여 과도한 섹터 집중을 피해야 합니다. 또한 국제 유가 변동, 글로벌 경기 둔화, 중국 조선업 회복 등의 리스크 요인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해야 합니다.
투자 시점 고려사항
조선업은 한국이 글로벌 경쟁우위를 보유한 몇 안 되는 산업 중 하나입니다. MASGA 프로젝트, IMO 환경규제, 친환경 선박 전환 등 구조적 성장 동력이 풍부한 상황에서 SOL 조선TOP3플러스는 이러한 기회를 가장 효과적으로 포착할 수 있는 최적의 투자 수단으로 평가됩니다. 다만 높은 변동성과 경기순환적 특성을 충분히 인지하고 신중한 리스크 관리 하에 투자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