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최근 주요 이슈
1단계 정성적 비교
2단계 정량적 비교
ETF 투자 전략
바이오 ETF 투자리포트
한국의 고령화 사회 진입과 글로벌 바이오 의료기술 혁신이 맞물리면서, 바이오산업은 2025년 최대 관심 분야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 GLP-1 기반 비만치료제 시장의 폭발적 성장, ADC(항체약물접합체) 기술 혁신, CDMO(위탁개발생산) 산업 확대와 함께 금리 인하 기대감까지 더해지면서 바이오 ETF에 대한 투자 열기가 뜨거워지고 있습니다.
최근 바이오 산업의 이슈는 무엇이 있지 살펴보겠습니다.
최근 바이오 산업 이슈
1. GLP-1 비만치료제 시장 급성장
2025년 글로벌 비만치료제 시장은 골드만삭스 전망에 따르면 연평균 50% 성장하여 2030년 130조 원 규모에 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노보노디스크의 위고비와 일라이릴리의 젭바운드가 시장을 주도하며, 이들의 2025년 1분기 매출은 각각 전년 대비 24%, 26% 증가했습니다.
2. ADC(항체약물접합체) 기술 혁신
ADC 시장은 2023년 97억 달러에서 2028년 약 300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전망입니다. 특히 다이이찌 산쿄와 아스트라제네카의 엔허투가 2023년 약 3조 5천억 원 매출을 기록하며, 차세대 정밀의료의 핵심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3. CDMO 산업 본격 확대
글로벌 바이오의약품 CDMO 시장은 2023년 196.8억 달러에서 2029년 438.5억 달러로 연평균 14.3% 성장이 예상됩니다. 삼성바이오로직스의 5공장 가동 개시와 셀트리온의 CDMO 사업 진출 등 국내 기업들의 글로벌 시장 점유율 확대가 기대됩니다.
4. 미국 트럼프 행정부 의약품 관세
우리나라는 그간 한미 FTA, EU·스위스 등과 함께 의약품 교역이 무관세로 이뤄져 왔지만, 최근 미 행정부가 15%~최대 250%의 관세 부과 방침을 예고하며, 직접 수출 기업의 가격 경쟁력 약화와 비용 부담이 불가피해졌습니다. 이에, 아직 관세 품목·시기·수준이 확정되지 않아 전문가들조차 의견이 엇갈리며, 단기적으로는 바이오 섹터, 특히 미국 매출 비중이 높은 종목 중심으로 단기 변동성 확대가 불가피하다는 분석입니다.
위의 사항들을 염두해두고, ‘바이오’ 관련 ETF들을 조사해 보겠습니다.
[정성적 비교 분석]
1. TIGER 바이오TOP10 (364970)
① 기초지수 개념
KRX 바이오 TOP10 지수를 추종하며,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 상장 바이오산업군 내 대표기업 10 종목으로 구성됩니다. 시가총액 상위 3개 종목에 각각 25%(총 75%)를 배정하고, 나머지 7개 종목에 25%를 배정하는 구조입니다.
② 기초지수 특징
· 시가총액 집중: 상위 3개 종목(셀트리온, 알테오젠, 삼성바이오로직스)이 전체의 75%를 차지
· 동일가중 방식: 상위 3개 종목은 각 25%씩 동일 비중 적용
· 정기변경: 연 2회(3월, 9월) 리밸런싱 실시
· 대형주 중심: 바이오 업계 대표 기업들로 구성
③ 구성종목 비율
알테오젠 25.58%, 삼성바이오로직스 24.183%, 셀트리온 24.14%, 유한양행 6.41%, HLB 4.91%, 리가켐바이오 3.65%, SK바이오팜 2.59%, 한미약품 2.03%, 휴젤 1.93%, SK바이오사이언스 1.12%
④ 적합한 투자자 유형: 중위험·중수익을 추구하는 투자자
대형주 중심의 안정적 포트폴리오이지만 상위 3개 종목 집중도가 높아 개별 종목 리스크가 존재합니다.
2. KODEX 바이오 (244580)
① 기초지수 개념
FnGuide 바이오지수를 추종하며, 국내 상장 기업 중 바이오 사업을 영위하는 기업들로 구성됩니다. 시가총액과 거래대금 조건을 감안하여 투자 대상 기업을 선별합니다.
② 기초지수 특징
· 동일가중방식: 모든 구성종목에 균등 비중 배분
· 광범위한 분산투자: 특정 종목 집중도를 낮춤
· 정기변경: 분기별 리밸런싱 실시
· 안정성 중심: 검증된 바이오 기업들로 구성
③ 구성종목 비율
동일가중방식으로 운용되어 특정 종목의 집중도가 낮습니다.
펩트론 3.18%, 디앤디파마텍 2.73%, 오름테라퓨틱 2.55%, 리가켐바이오 2.51%, 원텍 2.34%, 큐리옥스바이오시스템즈 2.33%, 보로노이 2.32%, 비올 2.28%, 파미셀 2.27%, 파마리서치 2.27%, 올릭스 2.24% 등
④ 적합한 투자자 유형: 중위험·중수익을 추구하는 투자자
동일가중방식으로 인한 분산효과와 안정적인 운용이 특징입니다.
3. KoAct 바이오헬스케어액티브 (462900)
① 기초지수 개념
iSelect 바이오헬스케어 PR 지수를 비교지수로 하되, 액티브 운용을 통해 초과성과를 추구합니다. 바이오헬스케어 산업의 성장과 함께 고성장 가능한 기업들의 성과를 추종합니다.
② 기초지수 특징
· 액티브 운용: 펀드매니저의 판단에 의한 선별적 투자
· 비중 조절: 개별 종목 비중을 능동적으로 관리
· 섹터 분산: 바이오텍, CDMO, 미용의료기기 등 다양한 분야 투자
· 전문성: 바이오 전문 운용팀의 적극적 관리
③ 구성종목 비율
리가켐바이오 9.18%, 에이비엘바이오 8.72%, 알테오젠 8.39%, 삼성바이오로직스 8.20%, 파마리서치 7.44%, 휴젤 6.50%
기타 약 35개 종목으로 구성됩니다.
④ 적합한 투자자 유형: 고위험·고수익을 추구하는 투자자
액티브 운용의 특성상 높은 수익 가능성과 함께 운용 리스크가 존재합니다.
4. TIMEFOLIO K바이오액티브 (463050)
① 기초지수 개념
KRX 헬스케어 지수를 비교지수로 하여 비교지수 대비 초과성과를 목표로 운용됩니다. 신약/바이오베터, 의료기기, 디지털 헬스케어 등 국내 바이오 핵심기업에 투자합니다.
② 기초지수 특징
· 테마 중심: 신약, 의료기기, 디지털 헬스케어에 특화
· 성장성 중심: 차세대 바이오 리더 발굴에 집중
· 액티브 운용: 기술력과 성장성을 보유한 기업 선별
· 트렌드 대응: 빠르게 진화하는 바이오 헬스케어 트렌드 반영
③ 구성종목 비율
약 26개 종목으로 구성되며, 확신이 가는 소수 종목에 집중 투자하는 전략을 취합니다.
④ 적합한 투자자 유형: 고위험·고수익을 추구하는 투자자
혁신적 바이오 기업 발굴을 통한 높은 성장성을 추구하나 변동성이 큽니다.
5. TIGER 코스닥150바이오테크 (261070)
① 기초지수 개념
코스닥150 헬스케어 지수를 추종하며, 코스닥150 구성종목 중 GICS 분류 생명기술에 속하는 종목들로 구성됩니다.
② 기초지수 특징
· 중소형 바이오테크: 코스닥 상장 생명기술 기업 중심
· 유동시가총액 가중: 거래량을 고려한 가중방식
· 편입비중 제한: 개별 종목 최대 20%로 제한
· 성장성 중심: 혁신적 바이오테크 기업들 포함
③ 구성종목 비율
코스닥150 중 생명기술 분야 기업들로 구성되며, 개별 종목 비중은 20% 이하로 제한됩니다.
④ 적합한 투자자 유형: 고위험·고수익을 추구하는 투자자
중소형 바이오테크 기업의 높은 성장성과 변동성을 감안해야 합니다.
6. TIGER 차이나바이오테크SOLACTIVE (371470)
① 기초지수 개념
Solactive China Biotech Index를 추종하며, 중국 헬스케어 산업 내 생명공학 테마 기업들로 구성됩니다. 중국, 홍콩, 미국 거래소 상장 중국 바이오 기업 최대 30 종목을 편입합니다.
② 기초지수 특징
· 중국 특화: 중국 바이오테크 시장에 집중 투자
· 글로벌 상장: 중국, 홍콩, 미국 거래소 상장 기업 포함
· 환율 노출: 위안화 환율 변동 위험 존재
· 정기변경: 연 2회(1월, 7월) 리밸런싱
③ 구성종목 비율
BeOne Medicines Ltd 8.1%, WuXi AppTec Co Ltd 7.84%, Innovent Biologics Inc 7.7%, Wuxi Biologics Cayman Inc 7.54%, Jiangsu Hengrui Pharmaceuticals Co Ltd 7.1%
기타 25개 종목으로 구성됩니다.
④ 적합한 투자자 유형: 고위험·고수익을 추구하는 투자자
중국 시장 리스크와 환율 변동성을 감내할 수 있는 투자자에게 적합합니다.
7. KODEX 미국S&P바이오(합성) (185680)
① 기초지수 개념
S&P Select Biopharmaceutical Index를 추종하며, 미국 바이오제약 분야 주요 기업들로 구성됩니다. 합성 ETF 방식으로 운용됩니다.
② 기초지수 특징
· 광범위한 분산: 약 140개 종목 포함
· 합성 방식: 스왑 계약을 통한 지수 수익률 추종
· 거래상대방 리스크: 스왑 상대방의 신용위험 존재
· 달러 노출: 달러 환율 변동 영향
③ 구성종목 비율
S&P 바이오제약 지수 구성종목을 합성 방식으로 추종하여 광범위한 분산투자를 실현합니다.
④ 적합한 투자자 유형: 중위험·중수익을 추구하는 투자자
미국 바이오제약 시장 전반에 분산투자하므로 상대적으로 안정적입니다.
8. TIGER 미국나스닥바이오 (203780)
① 기초지수 개념
NASDAQ Biotechnology Index를 추종하며, 미국 나스닥 상장 바이오테크놀로지와 제약 기업들로 구성됩니다. 약 220개 종목으로 구성된 광범위한 포트폴리오를 제공합니다.
② 기초지수 특징
나스닥 특화: 나스닥 상장 바이오테크 기업 중심
수정시가총액 가중: 상위 5개 종목 최대 8%, 나머지 최대 4% 제한
분기별 리밸런싱: 3, 6, 9, 12월 정기변경
엄격한 편입조건: 시가총액 2억 불 이상, 일평균 거래량 10만 주 이상
③ 구성종목 비율
Gilead Sciences Inc 7.34%, Amgen Inc 7.24%, Vertex Pharmaceuticals Inc 6.39%, Regeneron Pharmaceuticals Inc 6.19%, Alnylam Pharmaceuticals Inc 5.15%, 기타 약 215개 종목으로 구성됩니다.
④ 적합한 투자자 유형: 중위험·중수익을 추구하는 투자자
광범위한 분산투자로 개별 기업 리스크를 완화합니다.
9. KIWOOM 미국블록버스터바이오테크의약품+ (483030)
① 기초지수 개념
Solactive Blockbuster Biotech Drugs Index를 추종하며, 연매출 10억 달러 이상의 블록버스터 의약품을 보유한 미국 기업들로 구성됩니다. 현재 블록버스터 의약품 보유 기업(95%)과 향후 5년 내 보유 예상 기업(5%)에 투자합니다.
② 기초지수 특징
· 검증된 수익성: 이미 시장에서 성공한 의약품 보유 기업
· 집중 투자: 28개 종목으로 구성, 개별 종목 최대 10%
· 현재와 미래 결합: 95% 현재 보유, 5% 미래 유망 기업
· 바텀업 접근: 개별 기업의 제품과 기술력 중심 선별
③ 구성종목 비율
머크, 노보노디스크, 일라이릴리, 존슨 앤 존슨, 아스트라제네카, 화이자, 애브비 등 글로벌 제약 대기업들이 상위 비중을 차지합니다.
④ 적합한 투자자 유형: 중위험·중수익을 추구하는 투자자
이미 수익성이 검증된 기업들로 구성되어 상대적으로 안정적입니다.
10. HANARO 바이오코리아액티브 (498050)
① 기초지수 개념
iSelect K-바이오헬스케어 지수를 비교지수로 하여 비교지수 대비 초과성과를 추구하는 액티브 ETF입니다.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한국의 바이오 및 헬스케어 종목에 투자합니다.
② 기초지수 특징
· K-바이오 집중: 국내 바이오헬스케어 기업 특화
· 액티브 운용: NH-Amundi의 전문적 운용
· 상승기 진입: 바이오산업 상승기 진입 시점 포착
· 글로벌 경쟁력: CDMO, 바이오시밀러 등 경쟁력 보유 기업 중심
③ 구성종목 비율
삼성바이오로직스, 셀트리온, 알테오젠 등 CDMO와 바이오시밀러 분야 글로벌 경쟁력 보유 기업들로 구성됩니다.
④ 적합한 투자자 유형: 중위험·중수익을 추구하는 투자자
K-바이오의 글로벌 경쟁력을 바탕으로 한 성장성과 안정성을 동시에 추구합니다.
11. RISE 바이오TOP10액티브 (0000Z0)
① 기초지수 개념
KRX 바이오 TOP 10 지수를 비교지수로 하는 액티브 ETF로, 국내 제약/바이오 핵심 기업 10 종목에 투자합니다. 적극적인 신약 개발과 CDMO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춘 기업들로 구성됩니다.
② 기초지수 특징
· 선별적 투자: 글로벌 경쟁력 보유 기업 중심 선별
· 거시환경 대응: 기술발전, 규제변화, 인허가 등에 민감하게 대응
· 액티브 운용: KB자산운용의 전문적 관리
· 집중투자: 10종목 집중으로 개별 기업 성과에 민감
③ 구성종목 비율
셀트리온 21.52%, 알테오젠 19.40%, 보로노이 3.86%, 파마리서치 3.84%, 에이비엘바이오 3.50%
기타 5개 종목으로 구성됩니다.
④ 적합한 투자자 유형: 고위험·고수익을 추구하는 투자자
10종목 집중투자로 높은 성장성과 변동성을 동시에 갖습니다.
12. 마이티 바이오시밀러&CDMO액티브 (0001P0)
① 기초지수 개념
FnGuide 바이오시밀러 & CDMO 지수를 비교지수로 하며, 바이오시밀러 및 CDMO 산업과 관련성이 높은 국내 기업에 투자하는 액티브 상품입니다. 총 20개 종목으로 구성됩니다.
② 기초지수 특징
· 특화 분야: 바이오시밀러와 CDMO 분야 특화
· 성장 동력: 글로벌 바이오의약품 CDMO 시장 성장 수혜
· 집중 투자: 20개 종목으로 구성된 집중형 포트폴리오
· 액티브 운용: DB자산운용의 전문 관리
③ 구성종목 비율
바이오시밀러 및 CDMO 사업을 영위하는 20개 국내 기업으로 구성되며, 셀트리온, 삼성바이오로직스 등이 주요 구성종목입니다.
④ 적합한 투자자 유형: 고위험·고수익을 추구하는 투자자
특정 산업 집중투자로 높은 성장성과 함께 섹터 리스크가 존재합니다.
13. TIMEFOLIO 글로벌안티에이징바이오액티브 (485810)
① 기초지수 개념
KEDI 글로벌불로장생바이오지수를 비교지수로 하며, 글로벌 안티에이징과 고령화 관련 바이오 기업에 투자하는 액티브 ETF입니다. 비만, 치매, 미용 등 고령화 산업에 특화됩니다.
② 기초지수 특징
· 테마 특화: 안티에이징, 비만, 치매 치료 분야 집중
· 글로벌 투자: 전 세계 관련 기업에 분산투자
· 트렌드 대응: 고령화 사회 트렌드에 특화된 투자
· 환율 노출: 해외 투자로 인한 환율 변동 위험
③ 구성종목 비율
ELI LILLY 15.54%, ABBOTT LABORATORIES 6.30%, NATERA 6.30%, ABBVIE 6.27%, JOHNSON & JOHNSON 4.88%
헬스케어 분야가 90.20%를 차지합니다.
④ 적합한 투자자 유형: 고위험·고수익을 추구하는 투자자
글로벌 테마 투자의 특성상 높은 성장성과 함께 환율 및 테마 리스크가 존재합니다.
[정량적 비교 분석]
총 13개의 바이오 관련 ETF의 각각의 항목(상장일, 순자산, 수수료율, 거래량(60일 평균), 거래대금(60일 평균), 배당수익률, 수익률(최근 3개월, 6개월, 연초 이후, 1년, 상장 이후) 등으로 상대점수화 합니다.
MAX값 또는 MIN값을 1점으로 하여 상대점수화합니다. 이후 각각의 항목들의 상대점수를 모두 합산합니다.
1. TIGER 바이오TOP10
① 상장일 : 2020-10-07 , 상대점수 : 0.41점(5위)
② 순자산 : 1,728억 원 , 상대점수 : 0.924점(2위)
③ 수수료율 : 0.5192% , 상대점수 : 0.663점(3위)
④ 거래량(60일 평균) : 1,300,385주 , 상대점수 : 1.000점(1위)
⑤ 거래대금(60일 평균) : 100억 원 , 상대점수 : 1.000점(1위)
⑥ 수익률(최근 3개월) : 8.10% , 상대점수 : 0.219점(10위)
수익률(최근 6개월) : -4.91% , 상대점수 : -0.104점(8위)
수익률(연초 이후) : 7.22% , 상대점수 : 0.155점(8위)
수익률(최근 1년) : 10.16% , 상대점수 : 0.155점(8위)
수익률(상장 이후) : -23.05% , 상대점수 : -0.140점(13위)
수익률 정규화 : 0.073점(10위)
⑦ 배당수익률 : 0.13% , 상대점수 : 0.051점(4위)
⑧ 총점수 : 4.122점(1위)
2. KODEX 바이오
① 상장일 : 2016-05-13 , 상대점수 : 0.78점(3위)
② 순자산 : 1,544억 원 , 상대점수 : 0.826점(3위)
③ 수수료율 : 0.6448% , 상대점수 : 0.534점(6위)
④ 거래량(60일 평균) : 623,296주 , 상대점수 : 0.479점(2위)
⑤ 거래대금(60일 평균) : 57억 원 , 상대점수 : 0.570점(2위)
⑥ 수익률(최근 3개월) : 10.45% , 상대점수 : 0.283점(7위)
수익률(최근 6개월) : 13.66% , 상대점수 : 0.290점(3위)
수익률(연초 이후) : 20.48% , 상대점수 : 0.440점(4위)
수익률(최근 1년) : 10.86% , 상대점수 : 0.165점(7위)
수익률(상장 이후) : -8.28% , 상대점수 : -0.050점(9위)
수익률 정규화 : 0.288점(7위)
⑦ 배당수익률 : 0.16% , 상대점수 : 0.063점(3위)
⑧ 총점수 : 3.545점(2위)
3. KoAct 바이오헬스케어액티브
① 상장일 : 2023-08-03 , 상대점수 : 0.17점(7위)
② 순자산 : 1,870억 원 , 상대점수 : 1.000점(1위)
③ 수수료율 : 0.7902% , 상대점수 : 0.436점(9위)
④ 거래량(60일 평균) : 491,837주 , 상대점수 : 0.378점(4위)
⑤ 거래대금(60일 평균) : 76억 원 , 상대점수 : 0.760점(3위)
⑥ 수익률(최근 3개월) : 14.44% , 상대점수 : 0.391점(4위)
수익률(최근 6개월) : 11.96% , 상대점수 : 0.254점(4위)
수익률(연초 이후) : 23.60% , 상대점수 : 0.507점(3위)
수익률(최근 1년) : 26.26% , 상대점수 : 0.400점(4위)
수익률(상장 이후) : 55.72% , 상대점수 : 0.340점(4위)
수익률 정규화 : 0.483점(3위)
⑦ 배당수익률 : 0% , 상대점수 : 0.000점
⑧ 총점수 : 3.228점(3위)
4. TIMEFOLIO K바이오액티브
① 상장일 : 2023-08-17 , 상대점수 : 0.17점(공동 7위)
② 순자산 : 1,304억 원 , 상대점수 : 0.697점(4위)
③ 수수료율 : 0.9377% , 상대점수 : 0.367점(공동 12위)
④ 거래량(60일 평균) : 608,966주 , 상대점수 : 0.468점(3위)
⑤ 거래대금(60일 평균) : 80억 원 , 상대점수 : 0.800점(2위)
⑥ 수익률(최근 3개월) : 14.78% , 상대점수 : 0.400점(3위)
수익률(최근 6개월) : 8.50% , 상대점수 : 0.180점(5위)
수익률(연초 이후) : 18.23% , 상대점수 : 0.392점(6위)
수익률(최근 1년) : 19.84% , 상대점수 : 0.302점(5위)
수익률(상장 이후) : 37.76% , 상대점수 : 0.230점(5위)
수익률 정규화 : 0.384점(5위)
⑦ 배당수익률 : 0% , 상대점수 : 0.000점
⑧ 총점수 : 2.885점(4위)
5. TIGER 코스닥150바이오테크
① 상장일 : 2016-12-15 , 상대점수 : 0.73점(4위)
② 순자산 : 262억 원 , 상대점수 : 0.140점(7위)
③ 수수료율 : 0.4840% , 상대점수 : 0.711점(2위)
④ 거래량(60일 평균) : 68,026주 , 상대점수 : 0.052점(5위)
⑤ 거래대금(60일 평균) : 10억 원 , 상대점수 : 0.100점(5위)
⑥ 수익률(최근 3개월) : 15.83% , 상대점수 : 0.429점(2위)
수익률(최근 6개월) : 14.45% , 상대점수 : 0.306점(2위)
수익률(연초 이후) : 24.20% , 상대점수 : 0.520점(2위)
수익률(최근 1년) : 27.76% , 상대점수 : 0.423점(3위)
수익률(상장 이후) : 90.39% , 상대점수 : 0.551점(3위)
수익률 정규화 : 0.570점(2위)
⑦ 배당수익률 : 0.25% , 상대점수 : 0.099점(2위)
⑧ 총점수 : 2.407점(5위)
6. TIGER 차이나바이오테크SOLACTIVE
① 상장일 : 2020-12-08 , 상대점수 : 0.40점(6위)
② 순자산 : 513억 원 , 상대점수 : 0.274점(6위)
③ 수수료율 : 0.7260% , 상대점수 : 0.474점(7위)
④ 거래량(60일 평균) : 63,304주 , 상대점수 : 0.049점(6위)
⑤ 거래대금(60일 평균) : 5억 원 , 상대점수 : 0.050점(공동 7위)
⑥ 수익률(최근 3개월) : 36.93% , 상대점수 : 1.000점(1위)
수익률(최근 6개월) : 47.16% , 상대점수 : 1.000점(1위)
수익률(연초 이후) : 46.54% , 상대점수 : 1.000점(1위)
수익률(최근 1년) : 65.67% , 상대점수 : 1.000점(1위)
수익률(상장 이후) : -14.35% , 상대점수 : -0.087점(11위)
수익률 정규화 : 1.000점(1위)
⑦ 배당수익률 : 0% , 상대점수 : 0.000점
⑧ 총점수 : 2.243점(6위)
7. KODEX 미국S&P바이오(합성)
① 상장일 : 2013-10-31 , 상대점수 : 1.000점(1위)
② 순자산 : 144억 원, 상대점수 : 0.077점(9위)
③ 수수료율 : 0.3442% , 상대점수 : 1.000점(1위)
④ 거래량(60일 평균) : 3,895주 , 상대점수 : 0.003점(13위)
⑤ 거래대금(60일 평균) : 96,343,367원 , 상대점수 : 0.010점(10위)
⑥ 수익률(최근 3개월) : 8.28% , 상대점수 : 0.224점(9위)
수익률(최근 6개월) : -12.34% , 상대점수 : -0.262점(12위)
수익률(연초 이후) : -12.01% , 상대점수 : -0.258점(13위)
수익률(최근 1년) : -7.62% , 상대점수 : -0.116점(11위)
수익률(상장 이후) : 164.11% , 상대점수 : 1.000점(1위)
수익률 정규화 : 0.150점(9위)
⑦ 배당수익률 : 0%, 상대점수 : 0.00점
⑧ 총점수 : 2.240점(7위)
8. TIGER 미국나스닥바이오
① 상장일 : 2014-08-27 , 상대점수 : 0.93점(2위)
② 순자산 : 581억 원 , 상대점수 : 0.311점(5위)
③ 수수료율 : 0.7702% , 상대점수 : 0.447점(8위)
④ 거래량(60일 평균) : 25,475주 , 상대점수 : 0.020점(8위)
⑤ 거래대금(60일 평균) : 6억 원 , 상대점수 : 0.060점(6위)
⑥ 수익률(최근 3개월) : 9.16% , 상대점수 : 0.248점(8위)
수익률(최근 6개월) : -6.68% , 상대점수 : -0.142점(10위)
수익률(연초 이후) : -3.20% , 상대점수 : -0.069점(10위)
수익률(최근 1년) : -1.26% , 상대점수 : -0.019점(10위)
수익률(상장 이후) : 105.86% , 상대점수 : 0.645점(2위)
수익률 정규화 : 0.170점(8위)
⑦ 배당수익률 : 0.04% , 상대점수 : 0.016점(6위)
⑧ 총점수 : 1.953점(8위)
9. KIWOOM 미국블록버스터바이오테크의약품+
① 상장일 : 2024-05-28 , 상대점수 : 0.10점(9위)
② 순자산 : 31억 원, 상대점수 : 0.017점(13위)
③ 수수료율 : 0.8680점, 상대점수 : 0.397점(10위)
④ 거래량(60일 평균) : 8,380주 , 상대점수 : 0.006점(10위)
⑤ 거래대금(60일 평균) : 73,756,158원 , 상대점수 : 0.007점(11위)
⑥ 수익률(최근 3개월) : 0.55% , 상대점수 : 0.015점(12위)
수익률(최근 6개월) : -9.45% , 상대점수 : -0.200점(11위)
수익률(연초 이후) : -7.23% , 상대점수 : -0.155점(11위)
수익률(최근 1년) : -9.31% , 상대점수 : -0.142점(12위)
수익률(상장 이후) : -8.37% , 상대점수 : -0.051점(10위)
수익률 정규화 : -0.136점(12위)
⑦ 배당수익률 : 2.53% , 상대점수 : 1.000점(1위)
⑧ 총점수 : 1.392점(9위)
10. HANARO 바이오코리아액티브
① 상장일 : 2024-11-26 , 상대점수: 0.06점(11위)
② 순자산 : 97억 원, 상대점수: 0.052점(11위)
③ 수수료율 : 0.5763%, 상대점수: 0.597점(4위)
④ 거래량(60일 평균) : 16,144주, 상대점수 : 0.012점(9위)
⑤ 거래대금(60일 평균) : 2억 원, 상대점수 : 0.020점(9위)
⑥ 수익률(최근 3개월) : 12.51%, 상대점수 : 0.339점(6위)
수익률(최근 6개월) : 7.69%, 상대점수 : 0.163점(6위)
수익률(연초 이후) : 19.93%, 상대점수 : 0.428점(5위)
수익률(최근 1년) : 27.86%, 상대점수 : 0.424점(2위)
수익률(상장 이후) : 27.86%, 상대점수 : 0.170점(6위)
수익률 정규화 : 0.390점(4위)
⑦ 배당수익률 : 0%, 0.00점
⑧ 총점수 : 1.130점(10위)
11. RISE 바이오TOP10액티브
① 상장일 : 2024-12-24 , 상대점수 : 0.05점(공동 12위)
② 순자산 : 148억 원, 상대점수 : 0.079점(8위)
③ 수수료율 : 0.6161%, 상대점수 : 0.559점(5위)
④ 거래량(60일 평균) : 41,782주, 상대점수 : 0.032점(7위)
⑤ 거래대금(60일 평균) : 5억 원, 상대점수 : 0.050점(공동 7위)
⑥ 수익률(최근 3개월) : 14.16%, 상대점수 : 0.383점(5위)
수익률(최근 6개월) : 7.17%, 상대점수 : 0.152점(7위)
수익률(연초 이후) : 16.01% , 0.344점(7위)
수익률(최근 1년) : 19.47% , 0.296점(6위)
수익률(상장 이후) : 19.47% , 0.119점(7위)
수익률 정규화 : 0.331점(6위)
⑦ 배당수익률 : 0%, 0.0점
⑧ 총점수 : 1.104점(11위)
12. 마이티 바이오시밀러&CDMO액티브
① 상장일 : 2024-12-24 , 0.05점(공동 12위)
② 순자산 : 121억 원, 0.065점(10위)
③ 수수료율 : 0.8859% , 0.389점(11위)
④ 거래량(60일 평균) : 6,035주 , 0.005점(11위)
⑤ 거래대금(60일 평균) : 57,431,396원 , 0.006점(12위)
⑥ 수익률(최근 3개월) : 5.18%, 0.140점(11위)
수익률(최근 6개월) : -6.02%, -0.128점(9위)
수익률(연초 이후) : -1.66%, -0.036점(9위)
수익률(최근 1년) : 0.42%, 0.006점(9위)
수익률(상장 이후) : 0.42%, 0.003점(8위)
수익률 정규화 : -0.004점(11위)
⑦ 배당수익률 : 0.1%, 0.040점(5위)
⑧ 총점수 : 0.552점(12위)
13. TIMEFOLIO 글로벌안티에이징바이오액티브
① 상장일 : 2024-07-02, 0.09점(10위)
② 순자산 : 44억 원, 0.024점(12점)
③ 수수료율 : 0.9377%, 0.367점(공동 12위)
④ 거래량(60일 평균) : 5,184주, 0.004점(12위)
⑤ 거래대금(60일 평균) : 43,002,523원, 0.004점(13위)
⑥ 수익률(최근 3개월) : -1.28%, -0.035점(13위)
수익률(최근 6개월) : -13.69%, -0.290점(13위)
수익률(연초 이후) : -11.51%, -0.247점(12위)
수익률(최근 1년) : -15.89%, -0.242점(13위)
수익률(상장 이후) : -19.26%, -0.117점(12위)
수익률 정규화 : -0.238점(13위)
⑦ 배당수익률 : 0%, 0.0점
⑧ 총점수 : 0.254점(13위)
이번시간에는 바이오 관련 ETF들을 조사해 보았습니다.
ETF를 어떻게 운용하는지, 구성종목들은 어떻게 되어 있는지, 확인해 보는 정성적 분석과
각 항목들을 정량적으로 비교하여 상대점수를 산출하고, 이를 합산해 보았습니다.
투자자 개인의 성향과 맞는 기초지수를 찾고, ETF의 점수 및 차트를 함께 보면서 최적의 ETF를 찾으시기 바랍니다.
투자 방법 제시
1. 분할 매수 전략 (Dollar Cost Averaging)
1단계: 전체 투자금의 30% 우선 매수
2단계: 매월 20%씩 3회 추가 매수
3단계: 나머지 10% 기회 매수용 보유
2. 핵심-위성 전략 (Core-Satellite Strategy)
핵심(70%): TIGER 미국나스닥바이오 - 안정적 기반 수익 확보
위성(30%): TIMEFOLIO K바이오액티브 (20%) - 국내 바이오 고성장 포착
TIGER 차이나바이오테크SOLACTIVE (10%) - 신흥시장 기회 활용
3. 리밸런싱 전략
주기: 분기별 1회 (3개월마다)
기준: 목표 비중에서 ±5% 이상 이탈 시 조정
주의사항: 바이오 섹터 특성상 급격한 변동 시 감정적 매매 지양
4. 출구 전략
부분 매도 구간:
30% 수익 달성 시 → 투자원금의 50% 회수
50% 수익 달성 시 → 추가 30% 회수
나머지 20%는 장기 보유로 복리 효과 극대화
5. 리스크 관리
손절매 기준: -20% 손실 시 전체 포지션의 50% 청산
※ 투자 유의사항: 본 리포트는 투자 판단 참고용이며, 모든 투자 결정과 그에 따른 손익은 투자자 본인의 책임입니다. 바이오 섹터는 높은 변동성을 보이므로 신중한 투자가 필요합니다.
'ETF비교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선업 ETF 투자리포트 : 정성적·정량적 비교를 통한 최고의 ETF 제시 (0) | 2025.08.07 |
---|---|
양자(Quantum) 컴퓨팅 2X 레버리지 ETF 상품 비교 분석 (0) | 2025.07.07 |
양자(Quantum) 컴퓨팅 관련 ETF 비교 분석 (0) | 2025.06.29 |
퇴직연금(DC형)에서 최적의 TDF 선택 전략 (0) | 2025.06.22 |
인공지능(AI) ETF TOP10 (2) | 2025.06.16 |
월배당 ETF 수익률 TOP 10 (국내상장 vs 미국상장) (0) | 2025.04.17 |
미국시장 월배당 ETF TOP 10 (1) | 2025.04.12 |
국내상장 월배당 ETF 수익률 TOP5 (0) | 2025.03.23 |